난초에 물 주기
물관리
1 - 초봄이나 늦가을은 아침에, 늦봄이나 초가을은 저녁때, 여름은 심야에 겨울에는
따뜻한 날 오전에 그리고 관수후는 철저히 통풍을 시키는데 유의한다.
2 - 가능하다면 난실 내에 물탱크를 설치하여 하루 전에 물을 받아 비료와 농약의
희석-적용시간에 따라 미리 준비한다.
3 - 물주기 1시간 전에 잎과 화장토를 적실만큼 주고 나서 분내의 온도가 난실 온도와
물 온도가 적응되면 본격적인 관수를 한다.
4 - 생장기의 관수는 저녁에서 밤사이가 좋은데 이유는 성장을 빨리 하기 때문이며
충실기인 가을은 웃자람을 방지하기 위해서 아침에 관수하는 것이 좋다.
5 - 관수후 잎끝에 물방울이 맺히면 돋보기 현상으로 타거나 세포가 숨을 못 쉬어
이것이 반복되면 세포가 죽어 잎끝이 타는 현상이 나타난다.
6 - 과습하면 뿌리가 썩고 병해가 우려되며 잎에 검은 반점이 생긴다.
7 - 밤의 분무는 생육에 도움이 되며 성장기에 온도가 높으면 밤에도 계속호흡작용을 하므로
양분이 소모하게되어 새촉의 신장에 해가되므로 밤에 잎과 분에 분무는 난을 이롭게 한다.
8 - 겨울에는 너무 차갑지 않는 물로 따뜻한 날 낮에 관수하며 휴면상태이므로 10-15일에
관수하여 비교적 건조하게 관리한다.
9 - 새촉이 나올 때는 물을 조금씩 자주 준다. 너무 건조하면 새촉의 잎이 자라지 못한다.
10 - 분속이 너무 건조하여 식재가 마르면 뿌리의 수분이 역삼투현상으로 심하면 고사하게 된다.
11 - 생육기에 관수조절 및 채광관리를 잘못하면 잎면의 성장이 균일하지 못하고 굴곡이 형성된다.
12 - 꽃봉리나 꽃이 있는 분에 관수시는 꽃에 물이 닿지 않게 주며, 수분이 부족하면
화색이 떨어지고 수명이 감소되므로 분토위에 자주 준다.
13 - 물을 자주 주면 뿌리는 상하지만 잎은 길게 자라고 주지 않으면 뿌리는 잘 자라지만
잎이 작아지는 경향이 있으므로 적당하게 주는 것이 중요하다.
14 - 한란은 분내에 지나친 건조에 약한 성질을 가지고 있으므로 이를 고려하여 물 관리한다.
15 - 열대야 현상은 무더운 날이 계속되면 난분과 바닥에 물을 뿌려준다.
16 - 꽃봉오리 상태의 난은 다소 건조한듯하게 관리하는 것이 발색에 도움이 된다.
17 - 가을 (11월)부터는 관수횟수를 서서히 줄여나간다.
18 - 흔히 경력자들의 감각이나 관습 그리고 일정주기-관수등 의 관수도 필요하지만
여기에 시각적관찰이 가능한 유리컵의 증발량, 온도-습도-통풍을 고려한
산술적증발량의 계산,관수전후의 분 무게측정등 좀더 확실한 방법의 적용으로
분내과습으로 인한 피해를 예방하는것이 무엇보다 중요하다고 본다.
(이유는 과습으로 인한 뿌리의 손상이나 신아의 손상등 다양한 병해의 요인이 되기 때문이다.)
출처 :[우수카페]산삼을 찾는 사람들 원문보기 글쓴이 : 변산반도 |
'- 분재盆裁.란蘭.수석水石' 카테고리의 다른 글
◈ - 계절과 월별 난관리 (0) | 2008.10.02 |
---|---|
◈ - 춘난의 용어 (0) | 2008.10.02 |
◈ - 동양란 관리 입문 (0) | 2008.10.02 |
◈ - 화예품(花藝品) : 소심(素心) (0) | 2008.10.02 |
◈ - 화예품(花藝品) : 자화(紫花) (0) | 2008.10.0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