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시詩 와 문학文學36 ◈ - 로버트 프로스트 / 가지 않은 길 가지 않은 길 로버트 프로스트 Robert Frost 시인 1874년 3월 26일 (미국) ~ 1963년 1월 29일 노란 숲 속 두 갈래로 길이 나 있었습니다. 두 길 다 가보지 못하는 것이 안타까워, 한동안 나그네로 서서 한쪽 깊이 굽어 꺾여 내려한 곳으로 눈이 닿는 데까지 멀리 바라보았습니다. 그러고는 똑같이 아.. 2015. 8. 12. ◈ - 초당한채/이수익, 벌새가 사는법/천양희, 예감/이시영, 한호흡/문태준 초당(草堂) 한채 이수익 시인 출생 / 1942년 11월 28일 경남 함안군 | 말띠, 사수자리 학력 / 서울대학교 영어교육학 학사 마음에 초당한채 짓자 혼자만, 혼자서만 있고 싶은 시간 은밀히 드나들게 마음의 변두리 어느 한적한 터에 불빛도 없고, 기척도 없는 1962년 《서울신문》 신춘문예로 등.. 2013. 1. 16. ◈ - 푸쉬킨 / 삶 알렉산드르 푸시킨 출생 1799년 6월 6일(1799-06-06) 러시아 제국 모스크바 사망 1837년 2월 10일 (37세) 러시아 제국 상트페테르부르크 직업 시인, 소설가, 극작가, 관료 국적 러시아 제국 알렉산드르 세르게예비치 푸시킨(러시아어: Александр Сергеевич Пушкин, 문화.. 2012. 11. 19. ◈ - 김종호 (金宗昊) / 詩人 詩人 김종호 (金宗昊) 김종호 시집 ‘순례자’를 보내왔다. ‘율려(律呂)의 곡조를 타는 잠연한 순례의 길’이란 아주대 강사이자 시인인 김광기 씨의 해설처럼 ‘시인은 율려 속에서 나무가 되어 숨을 쉬기도 하고 귀를 열어두고 가끔은 바람에 흔들리기도 하며, 고독한 순례를 계속하.. 2012. 3. 3. ◈ - 이혜랑 (이혜랑) / 멀다, 너무 멀다 멀다, 너무 멀다 이혜랑 멀다, 너무 멀다 / 이혜랑 전화벨이 울린다 새벽녘 꿈에서 아직 헤매는데 당신은 늦은 밤이라며 잘자라고 말하지 일출과 일몰의 시차 그만큼의 거리에 당신과 내가 있다 창백한 아침 달 지구를 한 바퀴 돌아오면 그리움은 다시 제자리 눈을 뜨면 감아야 하는 지구 .. 2009. 12. 12. ◈ - 용혜원 (용혜원) / 계절이 지날 때마다 계절이 지날 때마다 용혜원 詩 계절이 지날 때마다 그리움을 마구 풀어놓으면 봄에는 꽃으로 피어나고 여름에는 비가 되어 쏟아져 내리고 가을에는 오색 낙엽이 되어 떨어지고 겨울에는 눈이 되어 펑펑 쏟아져 내리며 내게로 오는 그대 그대 다시 만나면 개구장이같이 속없는 짓 하지 않.. 2009. 6. 18. ◈ - 김동인 (金東仁) / 발가락이 닮았다 김동인 (金東仁) 김동인 (金東仁) 1900. 10. 2 평양 ~ 1951. 1. 5 서울 평양교회 장로였던 아버지 대윤(大潤)의 3남 1녀 가운데 차남으로 태어났다. 어머니 옥씨(玉氏)는 후실로 전실에게서 장남 동원이 있었고, 동인·동평·동선은 옥씨 소생이다. 1912년 평양숭덕소학교를 졸업하고, 다음해 기독.. 2009. 3. 4. ◈ - 김동인 (金東仁) / 배따라기 . 감자 . 붉은산 김동인 (金東仁) 김동인 (金東仁) 1900. 10. 2 평양 ~ 1951. 1. 5 서울 평양교회 장로였던 아버지 대윤(大潤)의 3남 1녀 가운데 차남으로 태어났다. 어머니 옥씨(玉氏)는 후실로 전실에게서 장남 동원이 있었고, 동인·동평·동선은 옥씨 소생이다. 1912년 평양숭덕소학교를 졸업하고, 다음해 기독교학교인 숭실중학교에 들어갔으나 곧 중퇴했다. 1914년 일본으로 건너가 도쿄 학원 중학부에 입학, 학원이 문을 닫자 메이지 학원[明治學院]에 편입해 1916년에 졸업했다. 이때부터 의사나 변호사가 되려던 꿈을 버리고 문학에 열중했다. 1917년 아버지가 세상을 뜨자 잠시 귀국했다가 이듬해 4월 김혜인(金惠仁)과 결혼했다. 다시 일본으로 건너가 가와바타 미술학교[川端美術學校]에 들어갔다. 1919년.. 2009. 3. 4. ◈ - 주요한 (朱耀翰) / 불놀이 외 16 편 주요한 (朱耀翰) 주요한 [朱耀翰, 1900.10.14~1979.11.17] 호 송아(頌兒). 평남 평양(平壤) 출생. 초등학교 졸업 후 도일, 메이지학원[明治學院] 중등부와 도쿄[東京] 제1고등학교를 거쳐 3 ·1운동 후 상하이[上海]로 망명, 후장[滬江]대학을 졸업하였다. 귀국 후 동아일보사와 조선일보사 편집국장.. 2009. 3. 4. ◈ - 신석정 (辛夕汀) / 그 먼 나라를 알으십니까 외 7 편 신석정(辛夕汀) 신석정(辛夕汀, 1907.7.7 - 1974.7.6) 전라북도 부안(扶安) 출생. 본명 석정(錫正). 보통학교를 졸업하고 상경하여 중앙불교전문강원에서 약 1년간 불전(佛典)을 연구하였다. 1931년 《시문학》 3호부터 동인으로 참여하면서 작품활동을 본격화, 그해에 《선물》 《그 꿈을 깨우면 어떻게 할까요》 등을 발표했고, 계속 《나의 꿈을 엿보시겠읍니까》 《봄의 유혹》 《어느 작은 풍경》 등 목가적인 서정시를 발표하여 독보적인 위치를 굳혔다. 8 ·15광복 후에는 시작(詩作)과 후진양성에 전념했고, 저서로는 초기의 주옥 같은 전원시가 주류를 이룬 제1시집 《촛불》(1939)과, 역시 8 ·15광복 전의 작품을 묶은 제2시집 《슬픈 목가(牧歌)》(1947), 그 뒤 계속 《빙하(氷河)》 《.. 2009. 3. 4. ◈ - 이광수 (李光洙) / 꿈 (줄거리) 이광수 (李光洙) 이광수 (한국 작가) [李光洙, 춘원] 호 춘원(春園). 평북 정주(定州) 출생. 소작농 가정에 태어나 1902년 부모를 잃고 고아가 된 후 동학(東學)에 들어가 서기(書記)가 되었으나 관헌의 탄압이 심해지자 1904년 상경하였다. 이듬해 친일단체 일진회(一進會)의 추천으로 도일, 메이지[明治]학원에 편입하여 공부하면서 소년회(少年會)를 조직하고 회람지 《소년》을 발행하는 한편 시와 평론 등을 발표하기 시작했다. 1910년 동교를 졸업하고 일시 귀국하여 오산학교(五山學校)에서 교편을 잡다가 재차 도일, 와세다[早稻田]대학 철학과에 입학, 1917년 1월 1일부터 한국 최초의 근대 장편소설 《무정(無情)》을 《매일신보(每日申報)》에 연재하여 소설문학의 새로운 역사를 개척하였다. 1919년.. 2009. 3. 3. ◈ - 이해조 (李海朝) / 구마검() 이해조 (李海朝]) 이해조 (李海朝) 1869년 2월 27일 - 1927년 호 열재(悅齋). 경기 포천(抱川) 출생. 언론계에 종사하면서 《제국신문》과 《매일신보》 등을 통해 30편에 가까운 신소설을 발표하였다. 대표작이라고 할 수 있는 《자유종(自由鐘)》(1910)은 주인공들의 토론형식을 빌어 정치이념.. 2009. 3. 3. ◈ - 이인직 (李人稙) / 혈의 누 [血 의 淚] 이인직(李人稙) (이인직 李人稙,1862-1916) [血 의 淚] 혈의 누는 이인직이 지은 우리나라 최초의 신소설입니다. 1894년도에 청일 전쟁 속에서 가족과 이별한 옥련이라는 사람이 일본 군인의 고마운 도움으로 일본에 가서 학교를 다니다가 구완서라는 한 청년을 만나서 미국에 유학을 가고 미.. 2009. 3. 3. ◈ - 김동리 (金東里) / 무녀도 (巫女圖) 김동리 (金東里) 1913. 11. 24 경북 경주~1995. 6. 17 서울. 소설가. 인간성 옹호에 바탕을 둔 순수문학을 지향했으며 8·15해방 직후 좌익문단에 맞서 논쟁을 벌이기도 했다. 본명은 시종(始鍾). 이명은 창귀(昌貴). 아명은 창봉... 무녀도(巫女圖) 김동리(金東里) 뒤에 물러 누은 어둑어둑한 산, 앞.. 2009. 3. 3. ◈ - 김유정 (金裕貞) / 소낙비(소나기) 김유정(金裕貞) 김유정(金裕貞 1908 - 1937) : 강원도 춘천 출생. 휘문고보 졸업. 김유정(金裕貞 1908 - 1937) : 강원도 춘천 출생. 휘문고보 졸업 1927년 연희전문에 입학했으나 맏형의 금광 사업 실패와 방탕으로 집안이 기울자 학교를 중퇴하고 한동안 객지를 방황하다가 1931년경에는 강원도 춘.. 2009. 3. 3. ◈ - 이효석 (李孝石) / 메밀꽃 필 무렵 이효석[李孝石] 이효석 [李孝石 1907 - 1942] 한국적, 이국적, 성적 모티브를 중심으로 한 특이한 작품들을 많이 발표했으며, 1933년에는 구인회(九人會) 에 가입하여, 순수문학의 방향을 더욱 분명히 하였다. 이효석의 작품세계는 한마디로 향수의 문학이라 정의할 수 있다. 대표작으로는 <.. 2009. 3. 3. ◈ - 이상화 (李相和) / 빼앗긴 들에도 봄은 오는가. 외 4 편 이상화 (李相和) 이상화(李相和, 1901.4.5~1943.4.25) 1901년 대구(大邱) 출생. 호 상화(尙火). 1919년 서울 중앙고보를 3년 수료하고 3·1운동이 일어나자 대구학생시위운동을 지휘하였다. 1922년 문예지 《백조(白潮)》 동인. 《개벽》지를 중심으로 시·소설·평론 등을 발표하고 시 〈빼앗긴 들.. 2009. 3. 3. ◈ - 심훈 (沈薰) / 그 날이 오면 심훈(沈薰) 심훈은 1901년 9월 12일 서울 노량진 현 수도국 자리에서 조상 숭배의 관념이 철저한 부 심상정과 파평 윤씨 사이에 3남 1녀 중 막내로 태어났다. 어머니는 조선조 말 중류 가정의 출생으로 온후한 성품을 지녔고 뛰어난 재질을 지닌 여인이었다. 심훈은 본명은 대섭이고 소년 시.. 2009. 2. 28. 이전 1 2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