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 제주濟州 무인도無人島

◈ - 3. 차귀도 / 한경면 고산리 산 37 ~ 126

by 준원 김재훈 2009. 6. 28.








차귀도

제주시 한경면 고산리 산 103

한경면 고산리 산 37 ~ 126




제주시 한경면 고산리 산 37 ~ 126

 

 

면적 155,861㎡ (사유지 국유지)

 

 

[정의]
제주특별자치도 제주시 한경면 고산리 차귀도 일대의 해상자원 보호 지역.

[개설]
한경면 고산리 자구내 포구 서쪽 2㎞ 해상에 위치하며,

주변에 죽도·지실이섬·와도 등의 부속 섬이 있다.

면적 155,861㎡의 차귀도 는 동서 방향으로 길게 뻗은 고구마 모양의 무인도로 동서 길이 920m,

남북 길이 430m이며, 표고 61.4m의 최고봉을 비롯하여 2개의 봉우리로 이루어져 있다.

 

지시리 라고도 불리우며 대나무가 있어 대섬이라고도 불리운다.

 

왼쪽=죽도,                      중앙=차귀도,                      오른쪽=와도

 


나라 호종단(胡宗旦)제주도의 지맥을 눌러 버린 뒤 중국으로 돌아갈 때,

한라산 수호신이 태풍을 불러일으켜 호종단의 귀국 길을 막았다고 하여 차귀(遮歸)라고 한다.

[자연환경]
해식애와 파식대가 발달한 암석 해안 뿐 아니라 자갈 해안도 출현하여 다양한 해안경관을 보인다.

응회암이 분포하는 섬 동쪽의 해식애에는 벌집 구조의 타포니가 잘 나타난다.

식생은 높이 0.5m 정도의 띠 군락이 탁월하다.

[현황]
토지는 사유지와 국유지가 혼재하고 있으며,

1977년까지 2가구가 살았으나 1978년부터 무인도로 분류되고 있다.

5~10m의 수심에는 수많은 미세홍조식물이 생육하고 있으며,

무척추동물상에서 해면동물이나 극피동물,

그리고 산호충류 등에서 많은 미 기록 종 들이 다수 나타나고 있다.








차귀도 는 주변 경관이 우수하고 국내에서 기록되지 않은 종이나

신종 해산생물이 서식하고 있어 생물학적 가치가 높다.

그리고 해산생물의 분포에도 중요한 학술적 가치를 지니고 있으므로

2000년 7월 18일에 천연기념물 제422호로 지정되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