새끼노루귀
새끼노루귀.
새끼노루귀는 미나리아재비과 노루귀속의 여러해살이 풀이다.
눈이 채 녹지 않은 숲속 들판에서 작은 요정을 만날 수 있다.
줄기 전체에 털이 뽀송뽀송하게 나있어서 털북숭이 식물이다.
한라산을 뛰놀고 있는 노루처럼 들판에서 여기 저기 아름답게 꽃을 피며 새봄이 왔음을 알리는 식물이다.
앙증맞고 귀여운 아이처럼 예쁜 식물이다.
노루귀는 노루의 귀를 닮았다고 하여 붙여진 이름이라고 한다.
이른 봄 잎이 나올 때 잎이 말려서 나오는데 뒷면에 털이 돋은 모습이 마치 노루귀와 같아서 붙여진 이름이라고 한다.
꽃받침도 노루귀를 닮았다.
새끼노루귀는 노루귀에 비해서 전체가 소형이라는 뜻에서 유래된 이름이다.
노루귀속 식물 중에서 새끼노루귀는 잎에 흰색무늬가 있는게 특징이다.
우리나라 제주도와 남해안 섬 지방에서 자라는 식물로 한국 특산식물이다.
활엽수가 우거진 숲속에 햇볕이 잘 드는 곳에서 자라는 식물이다.
꽃은 잎이 나오기 전에 피고 흰색 꽃이 주종이나 분홍색 꽃도 볼 수 있다.
꽃이 달리는 줄기는 긴 것이 가운데 손가락만하고 털이 가득하며 줄기 끝에 한 개의 꽃이 위를 향해 핀다.
꽃잎모양은 달걀모양이고 꽃잎은 겹쳐지지 않으며 끝은 둥글고 둔하다.
잎은 뿌리에서 바로 나며 표면은 짙은 녹색이고 흰색무늬가 있으며 잎의 양면에는 털이 나있다.
키는 5~10cm 정도 된다.
잎자루에도 털이 나 있고 잎은 심장형이며 가장자리는 3개로 갈라진다.
열매는 긴 달걀모양이고 털이 있다.
뿌리는 비스듬히 자라고 마디가 많으며 흑색의 잔뿌리가 사방으로 퍼진다.
우리나라에서 일반적으로 볼 수 있는 노루귀에 비해서 제주도에서 자라는 것을 새끼노루귀라고 하나현재 노루귀와 새끼노루귀의 중간종이 발견되어 현재는 두 가지 종을 구별하기가 어렵다고 한다.
- 자료제공 한라야생화 -
'- 야생화 野生花' 카테고리의 다른 글
♣ - 갯강활 (0) | 2011.05.11 |
---|---|
♣ - 들수국 (0) | 2011.05.10 |
♣ - 구슬봉이 (0) | 2011.05.10 |
♣ - 가는잎 유홍초 (0) | 2011.05.10 |
♣ - 둥근잎 유홍초 (0) | 2011.05.0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