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리개값과 셔터속도와의 관계
[조리개와 셔터속도의 노출관계]
카메라는 영상물을 렌즈를 통해 들어오는 빛을 기록하는 장치입니다.
빛을 기록하기 위해 빛의 양을 조절하는 요소가 3가지로 구분 되지요.
1. 조리개 2. 셔터스피드 3. 센서의감도(ISO)
카메라는 영상물을 렌즈를 통해 들어오는 빛을 기록하는 장치입니다.
빛을 기록하기 위해 빛의 양을 조절하는 요소가 3가지로 구분 되지요.
1. 조리개 2. 셔터스피드 3. 센서의감도(ISO)
1. 조리개
빛이 들어오는 조리개 또는 구멍의 크기에 따라 빛의 양이 달라집니다.
빛의 양은 통과하는 시간(한낮은 밝고, 오후는 어두움)설정에 따라서도 달라 질 수습니다.
2. 셔터스피드
빛이 들어오도록 셔터가 열렸다가 닫히게 되어 있는데...
셔터가 천천히 열렸다 닫히면 빛이 그만큼 많이 들어오고 셔터가 빨리 열렸다가 닫히면 빛이 적게 들어 오겠죠.
3. 센서의 감도(ISO)
빛을 담는 그릇으로 생각하시면 쉽습니다.
작은 그릇과 큰 그릇을 채우기 위해서는 당연히 채우는 양과 속도거 관련 되겠죠.
[조리개와 셔터속도의 노출 관계를 살펴보시죠.]
조리개를 수도 꼭지라고 생각해 보시죠.. 수도물을 많이 열면 물이 많이 나옵니다. 참 쉽죠..
마찬가지로 조리개를 많이 열면 빛의 양이 많아 집니다.
따라서 조리개를 과도하게 열면 사진이 너무 밝아 못쓰게 되고 과도하게 조이면 너무 어두워서 못쓰게 됩니다.
따라서 조리개를 열고 조이는 부분을 잘 이해하는 것이 중요하지요..
조리개 값은 f/22 ~ f/1.8 이렇게 표시하는데...
-숫자가 높으면 높을 수록 (f/22) 조리개는 조여지는 거구요.
-숫자가 낮은면 낮을 수록(f/1.8) 조리개는 여는 것이 됩니다.
조리개가 조여 지면... 영상이 더 선명하게 기록되구요.
조리개가 열리면.. 영상이 흐리게 기록됩니다.
※아웃포커싱 : 조리개를 많이 열어서(f/1.2~f/3.5) 촬영을 하면 특정 거리만 정확한 영상이 기록되고
그 앞부분이다 뒷 부분은 흐리게 기록되지요. 그 걸 이용해서 뒷 배경을 흐리게 기록하는 방식
(인물 사진을 촬영할 때 뒷부분이 흐려지면 인물이 더 이뻐 보여요..ㅎㅎ)
그런데... 수도 꼭지를 아무리 조여도... 일단 물이 나오고 있다면.... 시간이 좀 걸릴 뿐이지 잔은 채울 수 있답니다.
따라서 얼마나 되는 시간동안 수도꼭지를 열어 둘건지?? 이 부분에 따라 물의 양을 조절할 수 있겠죠.
마찬가지로 셔터스피드(셔터가 열리고 닫히는 속도)에 따라 빛의 양은 차이가 생깁니다.
조리개를 아무리 조여도 셔터를 오래 열어 두면.... 당연 필요한 빛이 들어와 영상을 기록할 수 있답니다.
따라서 조리개 값으로 영상물을 얼마나 선명하게 기록할 지 결정하고 셔터스피드를 이용해서 빛의 양을 조절할 수 있지요.
조리개 우선모드 - "Av"라는 모드는 조리개 값 조절을 우선으로 하는 모드이고요.
셔터속도 우선모드 - "Tv"는 셔터속도를 우선으로 하는 모드 이죠..
조리개 값
f/1 > f/1.4 > f/2 > f/4 > f/5.6 > f/8
<<<빛의 양이 많아짐<<< >>>빛의 양이 적어짐>>>
셔터속도
1/60초 > 1/30초 > 1/15초 > 1/8초 > 1/4 초 > 1초
<<<빛의 양이 적어짐<<< >>>빛의 양이 많아짐>>>
보통 카메라를 들고 흔들림 없이 사진을 촬영하려면... 1/60초 이상은 되어야 하구요... 그 보다 빛이 더 필요해서 셔터속도를
늦출 때에는 삼각대를 이용해서 움직이지 않도록 고정할 수 있습니다.
저녁에 한강에서 예쁜 다리나.. 조명을 찍고 싶을때.. 셔터속도를 카메라에 따라서 30초까지 늘릴 수도 있습니다.
△캐논 5D Mark3 + 24-70mm L 렌즈 (f/22,30초,ISO100)
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
사진의 3대 요소 초점, 노출 그리고 구도 중
가장 어려워하는 부분이 노출 맞추는 것이라고 생각합니다.
교육 현장에서 가장 많이 묻는 질문이기도 하구요.
노출 조절 방법을 초급자를 대상으로 쉽게 설명하겠습니다.
1. 노출이란 용어는 여러가지로 쓰이나 여기서는 편의상
피사체가 카메라에 찍혔을 때의 < 이미지의 밝기 >라는 의미로 설명하겠습니다.
2. 노출에는 눈으로 직접 보는 것과 비슷한 '기계적 적정 노출' 과
'심리적 적정 노출' 또는 '창조적 노출'등으로 분류할 수 있는데,
1강에서는 기계적 적정노출에 초점을 맞추겠습니다.
3. 노출을 결정하는 요소 : 조리개, 셔터 속도, ISO(감도)
- 세가지 요소가 각기 빛의 양을 조절하는 역할을 함으로써 노출을 조정합니다.
( 그런데 이 세가지 요소가 서로 반비례 또는 상호 영향을 준다는데서
초보자들이 어려움을 겪는데 이 강의 목적이 그것을 쉽게 해결해 주려는 데 있습니다.)
4. 각요소의 역할과 조절 방법
1) 조리개 : 렌즈 안쪽에 있는 빛을 조절하기 위해 크기가 조절되는 구멍
- 조리개 수치는 보통 F값으로 표현하는데,
조리개 수치가 낮으면 구멍이 크게 열려 빛을 많이 받아들이니 밝아지고
조리개 수치가 커질수록 구멍이 좁혀져 빛이 적게 들어오니 어두워집니다.
쉽죠?^^
(여기서는 피사계심도...이런 것들은 빼겠습니다.)
- 보통 조리개 수치는 2.8 / 5.6 / 8 / 11 / 16 / 22 등의 단계로(더 세분되어 있는 것이 일반적임) 되어있는데,
보급형 카메라의 경우 3.5나 5.6까지 밖에 안내려가는 경우도 있습니다.
여기서 2.8이면 가장 밝을 것이고 22면 가장 어둡겠지요.
한 단계(사진에서는 stop) 변할 때 마다 제곱으로 밝기가 어둡거나 밝아집니다.
2) 셔터속도 : 카메라 바디 앞에 있는 셔터막이 열렸다 닫히는 속도를 말하는 것으로
셔터속도가 느리면 빛이 많이 들어와 밝아질테고,
셔터속도가 빠르면 빛이 적게 들어와 어두워지겠지요.
아주 쉽죠?^^
(여기서도 운동감, 정지감 등은 빼겠습니다.)
- 보통 셔터속도는 1/125초를 기준으로 느려지면 1/60초, 1/30초, 1/15초 , 1/8초, 1/4초......
여기서 2.8이면 가장 밝을 것이고 22면 가장 어둡겠지요.
한 단계(사진에서는 stop) 변할 때 마다 제곱으로 밝기가 어둡거나 밝아집니다.
2) 셔터속도 : 카메라 바디 앞에 있는 셔터막이 열렸다 닫히는 속도를 말하는 것으로
셔터속도가 느리면 빛이 많이 들어와 밝아질테고,
셔터속도가 빠르면 빛이 적게 들어와 어두워지겠지요.
아주 쉽죠?^^
(여기서도 운동감, 정지감 등은 빼겠습니다.)
- 보통 셔터속도는 1/125초를 기준으로 느려지면 1/60초, 1/30초, 1/15초 , 1/8초, 1/4초......
빨라지면 1/250초, 1/500초, 1/1000초, 1/2000초....로
나타내며 조리개 수치의 폭보다 훨씬 커서 더 다양하게 노출을 조절할 수 있습니다.
마찬가지로 한 단계 변할때마다 제곱으로 밝기가 변합니다.
3) ISO(감도) : 빛을 받아들이는 민감도를 나타내는 말로
수치가 올라갈수록 제곱으로 밝아집니다.
( 참고로 ISO는 저감도도 한 두 단계 있으나 주로 밝기를 높이는데만 사용함)
보통 100/ 200/ 400/ 800/ 1600/ 3200 등으로 되어있습니다.
- 캐논은 기본 감도가 100이며 니콘은 200입니다. 거기서부터 한단계 올라갈때마다 두배씩
밝아집니다.( 화질과 노이즈는 다음 강의에서 언급하겠습니다)
5. 세가지 요소의 역할을 알았으니 활용할 일만 남았습니다.
카메라에서 노출을 결정하는 이 세가지 요소가 어떻게 서로에게 영향을 주며 최종 노출을 결정할까요?
- 먼저 조리개값과 셔터속도는 서로 반대로 작용한다는 것입니다
- 거기다 ISO는 중간에서 밝기를 높이기도 낮추기도 하면서 둘의 관계를 중재합니다.
- 이렇게 상호 유기적인 관계를 통해 적정노출을 찾아내는 것입니다.
6. 실전
촬영 모드 P, AV(A), TV(S) 에서는 사실 위와 같은 원리를 잘 몰라도 카메라가 자동으로
알아서 해줍니다. 그러나 M(수동)모드에서는 원리를 모르면 앞이 캄캄해집니다.
알면 자동모드 보다 훨씬 쉽구요.^^(자동으로 찍더라도 이 원리는 꼭 깨우쳐야 합니다.)
그럼 자동으로 찍지, 왜 머리 아프게 수동으로 찍을까는 다음에 설명하기로 하고
M모드 에서 노출 값을 정하는 과정을 살펴보겠습니다.
1) AV(A)모드에 놓고 조리개 수치를 8로 세팅한 후 촬영할 대상에 반셔터를 눌러 초점을 맞추면 두가지 숫자가 눈에 보일겁니다.
나타내며 조리개 수치의 폭보다 훨씬 커서 더 다양하게 노출을 조절할 수 있습니다.
마찬가지로 한 단계 변할때마다 제곱으로 밝기가 변합니다.
3) ISO(감도) : 빛을 받아들이는 민감도를 나타내는 말로
수치가 올라갈수록 제곱으로 밝아집니다.
( 참고로 ISO는 저감도도 한 두 단계 있으나 주로 밝기를 높이는데만 사용함)
보통 100/ 200/ 400/ 800/ 1600/ 3200 등으로 되어있습니다.
- 캐논은 기본 감도가 100이며 니콘은 200입니다. 거기서부터 한단계 올라갈때마다 두배씩
밝아집니다.( 화질과 노이즈는 다음 강의에서 언급하겠습니다)
5. 세가지 요소의 역할을 알았으니 활용할 일만 남았습니다.
카메라에서 노출을 결정하는 이 세가지 요소가 어떻게 서로에게 영향을 주며 최종 노출을 결정할까요?
- 먼저 조리개값과 셔터속도는 서로 반대로 작용한다는 것입니다
- 거기다 ISO는 중간에서 밝기를 높이기도 낮추기도 하면서 둘의 관계를 중재합니다.
- 이렇게 상호 유기적인 관계를 통해 적정노출을 찾아내는 것입니다.
6. 실전
촬영 모드 P, AV(A), TV(S) 에서는 사실 위와 같은 원리를 잘 몰라도 카메라가 자동으로
알아서 해줍니다. 그러나 M(수동)모드에서는 원리를 모르면 앞이 캄캄해집니다.
알면 자동모드 보다 훨씬 쉽구요.^^(자동으로 찍더라도 이 원리는 꼭 깨우쳐야 합니다.)
그럼 자동으로 찍지, 왜 머리 아프게 수동으로 찍을까는 다음에 설명하기로 하고
M모드 에서 노출 값을 정하는 과정을 살펴보겠습니다.
1) AV(A)모드에 놓고 조리개 수치를 8로 세팅한 후 촬영할 대상에 반셔터를 눌러 초점을 맞추면 두가지 숫자가 눈에 보일겁니다.
예를 들면 F 8 / 125....
여기서 F값은 위에서 말한대로 조리개값이며, 옆에 있는 숫자는 셔터속도 1/125초라는
것입니다.(125초가 아니구요^^)
이 숫자는 카메라가 자동으로 현재 노출값을 측정하여 알려주는 것입니다.
카메라가 볼때 이 수치가 적정 노출값이라는 것이지요.
( 그럼 그냥 찍으면 대충~~ 찍히겠지요. 그리고 노출보정 하면 됩니다.)
2) 그런데 말입니다. 자동이라는 것이 그야말로 실패하지 않는 정도의 노출로
찍기 때문에 내 맘에 안든다는데 문제가 있지요.
그래서 카메라가 가르쳐준 수치를 기억했다가 촬영모드를 M으로 돌린 후
그 수치를 입력하고 그것으로 기준을 삼아 수동으로 노출을 조정합니다.
3) 먼저 노출을 어둡게 하고 싶은 경우
조리개값을 큰 쪽으로 옮기거나( F8에서 F11로...), 셔터속도를 빠르게
하면 되겠지요.(125에서 250으로...) 두가지를 다 해도 되구요.
4) 노출을 밝게 하고 싶은 경우
조리개값을 작은 쪽으로 옮기거나 (F8에서 5.6으로...) 셔터속도를 느리게
(125에서 60으로)하거나 ISO(드디어 나왔지요^^) 수치를 100에서 200, 400
등으로 올립니다. 물론 세가지를 다 해도 되구요.
5) 문제는 여깁니다.
노출값은 동일하되 사진의 느낌만 다르게 찍고자 할 경우 머리가 복잡해집니다.
이것만 해결하면 카메라의 노출 원리는 끝입니다.
실례를 들겠습니다.
아까 F8 / 125 / ISO 100인 경우
노출은 동일하되 느낌을 바꿔보겠습니다.
F5.6으로 조리개를 열면 밝아질테니 상쇄시키기 위해 셔터속도는 250으로 해야되겠지요.
(F5.6 / 250 / ISO 100 = F2.8 / 500 / ISO 100)
F11로 조리개를 조이면 어두워질테니 상쇄시키키 위해 셔터속도는 60으로 낮춰야 됩니다.
(F11 / 60 / ISO 100 = F16 / 30 / ISO 100)
ISO를 400으로 올리고 싶으면 조리개를 두단계 조이거나, 셔터속도를 두단계 빠르게 해야
서로 상쇄되어 동일한 노출값을 되겠지요. 아니면 조리개 한단계 조이고 셔터속도 한단계
빠르게 하면 되겠습니다.( 이렇게요...F11 / 250 / ISO400 = F16 / 500 / ISO1600)
여기서 = 의 의미는 밝기(노출)가 동일하다는 뜻입니다.
이런식으로 조리개와 셔터속도, ISO를 유기적으로 결합하여 노출을 맞추는 것입니다.
본 강의는 다른 것 다 접고, 적정 노출을 찾아가는 방법 만을 간단히 말씀드렸습니다.
조금 어려울 수도 있지만 잘 생각해보면 아무 것도 아닙니다.^^
여기서 F값은 위에서 말한대로 조리개값이며, 옆에 있는 숫자는 셔터속도 1/125초라는
것입니다.(125초가 아니구요^^)
이 숫자는 카메라가 자동으로 현재 노출값을 측정하여 알려주는 것입니다.
카메라가 볼때 이 수치가 적정 노출값이라는 것이지요.
( 그럼 그냥 찍으면 대충~~ 찍히겠지요. 그리고 노출보정 하면 됩니다.)
2) 그런데 말입니다. 자동이라는 것이 그야말로 실패하지 않는 정도의 노출로
찍기 때문에 내 맘에 안든다는데 문제가 있지요.
그래서 카메라가 가르쳐준 수치를 기억했다가 촬영모드를 M으로 돌린 후
그 수치를 입력하고 그것으로 기준을 삼아 수동으로 노출을 조정합니다.
3) 먼저 노출을 어둡게 하고 싶은 경우
조리개값을 큰 쪽으로 옮기거나( F8에서 F11로...), 셔터속도를 빠르게
하면 되겠지요.(125에서 250으로...) 두가지를 다 해도 되구요.
4) 노출을 밝게 하고 싶은 경우
조리개값을 작은 쪽으로 옮기거나 (F8에서 5.6으로...) 셔터속도를 느리게
(125에서 60으로)하거나 ISO(드디어 나왔지요^^) 수치를 100에서 200, 400
등으로 올립니다. 물론 세가지를 다 해도 되구요.
5) 문제는 여깁니다.
노출값은 동일하되 사진의 느낌만 다르게 찍고자 할 경우 머리가 복잡해집니다.
이것만 해결하면 카메라의 노출 원리는 끝입니다.
실례를 들겠습니다.
아까 F8 / 125 / ISO 100인 경우
노출은 동일하되 느낌을 바꿔보겠습니다.
F5.6으로 조리개를 열면 밝아질테니 상쇄시키기 위해 셔터속도는 250으로 해야되겠지요.
(F5.6 / 250 / ISO 100 = F2.8 / 500 / ISO 100)
F11로 조리개를 조이면 어두워질테니 상쇄시키키 위해 셔터속도는 60으로 낮춰야 됩니다.
(F11 / 60 / ISO 100 = F16 / 30 / ISO 100)
ISO를 400으로 올리고 싶으면 조리개를 두단계 조이거나, 셔터속도를 두단계 빠르게 해야
서로 상쇄되어 동일한 노출값을 되겠지요. 아니면 조리개 한단계 조이고 셔터속도 한단계
빠르게 하면 되겠습니다.( 이렇게요...F11 / 250 / ISO400 = F16 / 500 / ISO1600)
여기서 = 의 의미는 밝기(노출)가 동일하다는 뜻입니다.
이런식으로 조리개와 셔터속도, ISO를 유기적으로 결합하여 노출을 맞추는 것입니다.
본 강의는 다른 것 다 접고, 적정 노출을 찾아가는 방법 만을 간단히 말씀드렸습니다.
조금 어려울 수도 있지만 잘 생각해보면 아무 것도 아닙니다.^^
[출처] 조리개값과 셔터속도와의 관계|작성자 보나벤투라
'- 디카 공부' 카테고리의 다른 글
◈ - 사진 크기별 비교 (0) | 2014.02.24 |
---|---|
◈ - 사진이나 그림에 음악을 삽입 하는 방법 (0) | 2013.12.30 |
◈ - 촛점 거리에 의한 분류 (0) | 2013.10.20 |
◈ - Hello DSLR / 1회 - 10회 (0) | 2013.09.18 |
◈ - 사진을 통합하여 알맞게 줄여 인터넷에 (0) | 2013.05.1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