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 야생화 野生花

◈ - 방울꽃

by 준원 김재훈 2016. 8. 30.






방울꽃

2016년 8월 30일


 


 

 

 

 

꽃이 피는 모양이 둥글어 방울을 닮았기 때문에 붙여진 이름이라고 한다.
우리나라에서는 제주도에만 자라는 제주특산식물이다.


습기가 많고 그늘진 숲속에서 잘 자라는 식물이다.
꽃은 자주색인데 흰색 꽃도 드물지만 볼 수 있다.


한라산국립공원관리사무소 한라산연구소에서는

어승생 일대를 탐방한 결과 자주색이 피는 방울꽃과 달리

순백색의 꽃을 피는 흰방울꽃 100여 그루를 발견하고 2004년 학계에 보고를 했다고 한다.

 

 

지금은 흰방울꽃이 어승생 일대 뿐만 아니라 다른 곳에서도 한 두개체씩 발견되고 있다.
꽃은 8월에 피며 연한 자주색인데 아침에 피었다가 저녁에는 저 버리는 하루살이 꽃이다.


꽃이 피는 자리는 줄기 끝이나 줄기 상부의 잎겨드랑이 이며

여기서 1~2개의 꽃이 위를 향해 피는데 꽃자루는 없으며 꽃의 가장 가까이에는 작은 잎이 있다.


꽃받침은 녹색이고 5개로 갈라지며 털이 있다.
꽃 모양은 통모양이고 밑부분이 약간 굽으면서 급하게 좁아지며 꽃잎은 끝이 약간 퍼지고 흰털이 있다

 

잎은 마주나기하고 넓은 달걀모양이며 끝이 뾰족하고 잎 양면에 털이 있으며 잎 가장 자리에는 둔한 톱니가 있고 밑 부분은 좁다.


키는 30~50cm 정도이고 원줄기는 네모지며 곧게 서고 가지를 친다.
마디사이의 밑 부분은 굵고 마디에는 긴 털이 있다.


열매는 꽃받침보다 약간 길고 끝에 잔털이 있으며 익으면 저절로 터져 나가는데 이 때 씨앗 4알이 튀어 나온다.


다른 이름으로 자운채, 광대나물아재비, 자주구름꽃으로도 불리 운다.

 

 

 

- 자료제공 : 한라야생화 -


 

 


 

 

'- 야생화 野生花' 카테고리의 다른 글

◈ - 제주고사리삼  (0) 2016.08.31
◈ - 한라천마  (0) 2016.08.31
◈ - 물달개비  (0) 2016.08.03
◈ - 갯버들 / 버들강아지  (0) 2016.04.23
◈ - 유럽쥐손이풀  (0) 2016.04.2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