역광 인물사진 촬영 노하우
마음과 다르게 실패한 사진 결과물 때문에
속상한 분들을 위한 New 프로그램, 캐논 포토 클리닉
진료 상담을 통해 교정받고 싶은 사진, 배우고 싶은 사진 촬영법을 이야기하고
원 포인트 레슨과 함께 포토 클리닉 받으세요
조금 더 나아진, 성공적인 사진 결과물을 위해 캐논이 응원 하겠습니다.
캐논 포토 클리닉 첫 번째 진료는
역광 인물 사진 촬영 편입니다
지금부터 함께 만나보시죠
역광에서 초점은 어떻게 잡나요 ?
역광에서 피사체가 어둡게 나오지 않게 하려면 어떻게 해야 하나요 ?
캐논 포토 클리닉을 통해 받은 유저들의 질문
상황에 따라, 원하는 배경에 따라
그리고 빛의 방향에 따라서 다양한 형태로 표현할 수 있는 역광사진 -
오늘은 역광 사진 중에서도 인물 사진을 촬영하는 노하우를 통해
여러분의 사진 촬영 스킬을 치료해드리려 합니다
그럼 본격적인 촬영 노하우를 배우기 전에 역광이란 무엇인지 다시 한 번 짚어볼까요
1. 역광이란 ?
방향에 따라 순광, 역광, 사광 등 다양하게 불리는 광원 -
그 중에서도 역광은 피사체의 후면에서 비춰지는 광원을 통칭합니다.
카메라를 통해 사진을 찍을 때, 정면에서 빛이 들어오기 때문에
피사체가 원하는 대로 표현되지 않는 것이 바로 역광 사진의 어려운 점인데요
그래도 풍성한 빛으로 몽환적이고 따뜻한 느낌을 주기도 하는 역광 사진
이런 역광 사진에는 두 종류가 있습니다.
함께 알아볼까요?
1) 할레이션 역광사진
할레이션이란 강한 빛이 사진 속으로 들어와 주변이 흐려지면서 빛이 번지는 현상입니다.
역광 인물 사진 촬영 시 이 할레이션 현상으로 오히려 인물이 뽀샤시하게 나오기도 합니다.
2) 실루엣 역광사진
피사체와 배경의 노출 차이가 커 피사체가 상대적으로 어둡게
실루엣처럼 처리되는 현상입니다
2. 역광인물사진 촬영의 기본 : 촛점 맞추기
역광 사진의 경우 강한 빛이 정면으로 들어오기 때문에 초점을 잘 맞추기 어려운 경향이 있습니다.
그리고 카메라마다 다르지만, 기본적으로 포커싱 밝기 범위라는 것이 설정되어 있지요
(EOS 5D Mark III의 경우 EV -2 -18)
즉, EV 18 이상일 경우 초점을 잡는 것이 어렵게 됩니다.
이런 역광의 경우, 초점을 맞추는 방법에 대해 알려드리겠습니다
1) MF(수동 초점) 모드로 바꾼 후 수동으로 초점을 잡고 촬영합니다.
2) 손이나 다른 도구로 역광을 가리고 초점을 잡은 후에 역광을 가린 것을 치우고 촬영합니다.
3) 초점이 잘 잡히는 곳을 찾아 반셔터로 초점 유지한 후
피사체가 그 위치로 이동하여 촬영합니다.
3. 출차이에 따른 역광인물사진 촬영방법 : 할레이션 & 실루엣
초점 잡는 법을 익혔으니, 본격적으로 역광 인물 사진 촬영을 시작해볼까요?
역광 촬영에 있어 가장 중요한 점은 바로 ‘노출’입니다.
노출 차이가 클 경우엔 실루엣 사진
노출 차이가 적을 경우엔 피사체 주변에 테두리가 생기는 할레이션 사진이 담기기 때문에
촬영 전 빛의 양과 방향을 고려하여 사전에 찍고자하는 이미지를 미리 그려볼 필요가 있습니다.
자, 이제 어떤 종류의 역광 사진을 찍을지 결정 했다면
그 방법을 함께 알아볼까요
1) 할레이션 역광 인물사진 촬영
할레이션 사진에는 별도의 정답은 없지만 '따뜻한 느낌'을 줄 수 있는 Tip을 알려드리겠습니다.
- 광원의 위치를 정한다면, 인물 바로 위쪽이 아닌 사선으로 빗겨 담는 것이 좋습니다
- 노출을 +쪽으로, 조리개를 개방하여 (F값▼) 설정하여 밝고 부드러운 색감을 연출합니다.
- 측광모드는 화면 전체를 측광하는 ‘평가 측광’으로 설정합니다.
2) 실루엣 역광 인물 사진 촬영
인물을 완전 어둡게, 윤곽으로만 인물을 표현하는 실루엣 인물 사진 촬영법을 알려드릴게요.
- 촬영 모드를 ‘Av’ 모드로 설정합니다.
- 측광 모드는 ‘스팟 측광’으로 설정합니다.
(여기서 스팟 측광이란? 프레임 전체 영역에서 2% 영역으로만 빛을 계산하는 측광입니다.)
- 초점은 피사체가 아닌 태양 근처 밝은 공간으로 맞춰 노출을 설정합니다.
- 명확한 실루엣을 위해 조리개값을 올려 (F값 ▲) 조여주셔야 합니다. ( 추천 F값 8 )
4. 역광 인물사진을 위한 추천 촬영 모드
1) Av 모드
조리개 우선 모드인 Av모드는 원하는 조리개 값만 설정해두면
셔터스피드와 ISO가 적정 노출을 맞춰주기 때문에 초보자 분들도 보다 쉽게 촬영할 수 있는 모드입니다.
Av 모드에서는 스팟 측광을 활용하는 것이 좋은데요
반셔터를 눌러 피사체에 초점을 맞춘 상태에서 구도를 변경하면
노출 값이 바뀌게 되기 때문에 노출 고정 버튼(*)을 사용해야합니다.
( Tip ) 노출 고정 버튼
피사체에 반셔터로 초점을 잡은 후
버튼을 누르면 구도를 변경하게 되더라도 노출 값은 바뀌지 않아 인물이 어둡게 or 밝게 나오는 것을 방지할 수 있습니다
Av 모드 / Tv 모드(셔터스피드 우선 모드)에서 모두 사용할 수 있는 버튼입니다!
2) M모드
카메라 세팅을 상황에 따라 바꿔가며 사용하는 것이 쉽지 않지만
역광 인물 사진처럼 노출 격차가 큰 사진 촬영에서는 수동 촬영 모드인 M모드를 추천합니다
자동 모드의 경우 촬영할 때마다 미묘하게 설정값이 바뀌기 때문에
추후 후보정을 할 때도 까다로워지는 단점이 있습니다
때문에 M모드로 원하는 조리개 값, ISO, 셔터스피드를 조절하면서 적정 값을 맞춰 촬영하는 것이 좋습니다.
3) HDR 모드
<ex) EOS 7D Mark II의 HDR 설정>
HDR, High Dynamic Range 모드!
각기 다른 밝기 설정값으로 3매 사진을 연속 촬영 후 최적의 밝기로 나타난 영역들만 선택하여
하나의 이미지로 결합해주는 촬영 모드입니다
역광 사진 촬영에서 종종 쓰이게 되는 편리한 모드지요
특별한 후보정 없이 최적의 역광 인물 사진을 촬영해 줄 수 있습니다.
PLEX WRITER
요점만 콕콕 찝어 전하는 사진 촬영 노하우 '카메라 원 포인트 레슨' 의 새로운 필진 '멋진삼촌'님!
카메라, 사진, IT, 육아, 일상 등 다양한 분야에서 멋진 활동을 펼치는 블로거 멋진삼촌 님의 사진 이야기가 궁금하다면? 그의 블로그를 방문해보세요!
'- 디카 공부' 카테고리의 다른 글
◈ - DSLR 동영상 촬영 노하우 / 동영상 촬영의 시작 (0) | 2016.11.06 |
---|---|
◈ - 매직아워 사진 촬영 노하우 (0) | 2016.11.06 |
◈ - 보케사진 찍는법 (0) | 2016.08.15 |
◈ - PowerShot G7 X Mark II (0) | 2016.08.11 |
◈ - 자신의 카메라에 맞는 메모리를 구입 (0) | 2016.03.0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