타임랩스 촬영을 위한 캐논 DSLR 카메라 세팅
제공 : 캐논코리아 <webmaster@canon-ci.co.kr>
함께 배우는
타임랩스 기초 탄탄 스페셜칼럼 제 2탄!
지금 바로 만나보세요
[영상작가 시아시아의 타임랩스]
2. 타임랩스 촬영을 위한
캐논 DSLR 카메라 세팅 방법
안녕하세요? 시아시아 이상근 입니다.
지난번 타임랩스의 기본적인 내용을 알아보았다면 이제 부터는 본격적인 촬영에 들어가겠습니다.
본격적인 촬영에 들어가기에 앞서 기본 준비물과 타임랩스를 위한 DSLR 카메라 세팅법을 알아보는 것이 우선 순위겠지요.
타임랩스 촬영 시 카메라와 삼각대 그리고 인터벌 촬영을 가능하게 해주는 인터벌 릴리즈가 꼭 필요합니다.
(캐논의 최신 기종 중 EOS 5Ds(5Ds R), EOS 7D Mark II 등은 바디에 인터벌 기능이 내장되어 있습니다.)
타임랩스의 진행 방법은 다양합니다.
밤에서 낮으로 가는 Night to Day나 거꾸로 낮에서 밤으로 가는 Day to Night,
그리고 무빙을 주면서 촬영되는 기법 및 촬영자가 움직이면서 만드는 하이퍼랩스 등
기본적인 타임랩스 촬영에 다양한 기법이 더해지면서 촬영하는 재미를 느끼실 수 있습니다.
시간에 따른 타임랩스 기법
카메라에 움직임을 주면서 촬영하는 기법
이번에는 가장 기본이 되는 고정 촬영을 시작으로 타입랩스의 기본을 확실히 익히도록 하며,
촬영 시 주의 사항에 대한 부분을 좀 더 살펴 보겠습니다.
▶ 구도잡기
아마 사진과 영상 모두에서 가장 중요한 부분이 아닐까 싶습니다.
특히나 여러 장의 사진을 장시간 담아야 하는 경우가 많은 타임랩스의 경우는
시간의 변화까지 고려한 구도를 생각해야 하기도 합니다.
결과물은 영상이기 때문에 사진 보다는 영상에 더 가깝다고 할 수 있으며,
보통의 영상 촬영 시간 보다 더 소요 되기에 경험적인 부분도 많이 필요합니다
.
풍경 타임랩스 촬영이 많아진다면 스마트폰에 생기는 어플 중 하나는 바로 나침반 어플일 것입니다.
그리고 일출 일몰시간을 검색하는 빈도가 늘게 될지도 모릅니다.
실제로 태양이나 달, 구름의 움직임에 따라 촬영시간에 따른 방향성 등을 고려하여 구도를 잡게 되는 경우가 많습니다.
▶ 카메라 세팅
매우 중요한 부분 중 하나 입니다.
일반적으로 바로 인터벌 릴리즈를 장착하고 시간만 설정하여 촬영해도 문제가 없을 경우가 있긴 하지만,
빛 조건이 아주 좋아 촬영 시간 내내 변함이 없다면 모를까
보통은 주변환경이 촬영 시간 중 변하기 때문에 결과물에서 플리커 현상과 같은 깜빡거림이 발생합니다.
우리의 눈은 연속으로 보고 있기 때문에 순간순간의 빛 조건을 구분하기 힘들며(영상으로 촬영 시에도 느껴지기 힘든 부분)
또한 카메라의 사진 또한 환경 조건이 아주 동일하다고 해도
그 때마다 약간씩 다른 노출 조건을 자동으로 파별하기 때문에 여러 장의 사진이 빠르게 넘어간다면
결국 우리에게는 깜빡거림으로 인식되게 됩니다.
M모드 매뉴얼로 세팅은 기본
때문에 기본적으로 DSLR에서는 모든 카메라의 자동 기능을 배제하는 것이 우선 중요하며,
때문에 촬영 모드 자체도 M으로 돌려 놓습니다.
다음으로는 구도를 맞추고 초점을 맞춘 뒤
렌즈의 MF(매뉴얼 수동 포커스)설정과 손떨림 방지 IS 기능이 있는 렌즈라면 IS기능도 꺼줍니다.
풍경촬영의 경우 사진처럼 조리개를 좀 조여 주시는 것도 바람직 합니다.
삼각대에 올려진 카메라의 경우 렌즈의 손떨림 방지 기능은
오히려 영상과 타임랩스 에서는 방해가 될 요소가 크기 때문에 꺼주시는 것이 좋습니다.
ISO는 고정
다음으로는 감도를 세팅 해주는 ISO를 고정해주셔야 합니다.
저 또한 사진 촬영시 편의상 오토로 놓고 촬영하지만,
타임랩스의 경우 자칫 노출의 변화를 줄 수 있기에 ISO 고정이 필요하며,
가능한 ISO 100에 가깝게 세팅해주세요.
인터벌 촬영 시간 간격과 셔터스피드에 따라 감도를 조절하는 것이 좋습니다.
예를 들어 장노출인 경우 위의 이미지처럼 인터벌 간격이 5초인데
셔터스피드가 인터벌 간격인 5초보다 길게 되면 세팅이 잘못되므로,
5초 미만으로 잡아 주시는 것이 필요합니다.
가능하다면 카메라의 모든 자동 세팅을 수동으로 고정해주시는 것이 좋습니다.
캐논 DSLR EOS 6D의 경우 ISO와 셔터속도, 조리개를 고정하는 것 외에
장시간 촬영 등을 위하여 촬영 후 재생시간을 ’없음’ 으로 해주고
화이트밸런스를 자동이 아닌 커스텀으로 맞춰 주는 것이 좋습니다.
또한 메뉴버튼을 눌러 자동밝기 최적화 기능, 고감도 ISO 노이즈 감소 기능 등을 모두 꺼주시면 됩니다.
위와 같이 EOS 6D 카메라 내에서 이미지 처리를 모두 꺼주셔야 합니다.
다음으로는 조리개와 셔터속을 조절하면서 알맞은 노출을 잡아주는 테스트 촬영을 몇 장 하면서 체크 합니다.
나중에 인터벌 촬영 데이터와 혼동 될 수 있으니 테스트 후 삭제 해주시거나 다른 방법으로 구분 지어 주시는 것이 좋습니다.
▶ 릴리즈 사용하기
캐논 인터벌 릴리즈 TC-80N3 입니다.
캐논의 모든 DSLR에 호환 되는 것은 아니므로 사용 전 확인이 필요 합니다.
EOS 6D의 리모콘 단자에 장착하여 줍니다.
모드 버튼을 눌러 다양한 모드 선택이 가능하며, 인터벌 모드를 선택하면 됩니다.
99장까지 촬영 가능한 세팅을 할 수 있으나
일반적으로 타임랩스의 경우 몇 백 장 이상을 촬영하게 되므로 ‘00’으로 놓아 무한대로 촬영되게 해줍니다.
인터벌 타임을 세팅 후 스타트 버튼을 눌러주면 시작이 됩니다.
영상 결과물의 시간을 생각하여 촬영해 주면 됩니다.
보통 1초에 30프레임의 영상을 사용하므로 타임랩스 촬영의 계산법은 간단하게 아래와 같습니다.
총 촬영 컷수 = 영상 결과물 시간(초) x 30(프레임 숫자)
만약 24프레임으로 영상작업을 하게 된다면 24로 계산해 주면 됩니다.
예를 들어 4초 정도의 30프레임 영상 제작에 타임랩스 촬영이 사용된다면 120장 정도의 사진이 필요합니다.
여기에 인터벌 타임이 1초당 1장씩 촬영한다면 ‘120장 X 1초 = 120초 = 2분’ 이 되겠지만
5초 간격의 인터벌 촬영이라면, ‘120장 X 5 = 600초 = 10분’ 의 시간이 걸립니다.
실제로 그 이상의 인터벌시간을 세팅하기도 하기에
결과물은 몇 초 이지만 실제 촬영 시간을 훨씬 오래 걸릴 수 있다는 점을 체크해 두시는 것이 좋습니다.
이번에는 타임랩스를 위한 DSLR 세팅법을 캐논 DSLR EOS 6D를 이용하여 알아보았습니다.
기본적인 세팅방법은 대부분의 DSLR이 비슷하기 때문에 참고하셔서 메뉴 조작을 하시면 될 듯 하며,
앞서 이야기 한 것과 같이 타임랩스 촬영시 인터벌 릴리즈나 삼각대 세팅에 주의하며 사용하시면
일반적인 타입랩스 영상 촬영은 충분히 담으실 수 있을 듯 합니다.
다음에는 이렇게 담은 여러 장의 사진 관리하고 영상으로 편집하는 방법에 대한 이야기를 담아 보도록 하겠습니다.
'- 디카 공부' 카테고리의 다른 글
◈ - 측광 방법 & 적정노출 노하우 (0) | 2016.12.02 |
---|---|
◈ - 번들 렌즈 접사 사진 노하우 (0) | 2016.12.02 |
◈ - 타임랩스(Time Lapse)란 (0) | 2016.11.24 |
◈ - 다중 노출 (Multiple Exposure) 촬영 노하우 (0) | 2016.11.24 |
◈ - 파노라마 (Panorama) 촬영 노하우 (0) | 2016.11.2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