민오름(제주시 오라동)
개새끼오름 입구에서 본 민오름
소독악(小禿岳) 무악(戊岳) 민악(民岳)
위치 - 제주시 오라동 산 28 번지
표고:251.7m 비고:117m 둘레:2,968m 면적:474,001㎡ 저경:996m 형태:말굽형(북동쪽)
찿아 가는 길 => 주차장 까지는 여러 길이 있으며
정실 마을 에서도 오를 수 있다
오름 정상까지는 20여분 정도 소요 된다
이 오름은 보통 민오름이라 부른다.
제주 오름들중 유사한 이름이 가지고 있는 오름이 많다.
조천읍. 구좌읍. 남원읍 등에 분포하는 민오름은 초지대를 형성하여 소독악(小禿岳)이라고 부른다.이 오름은 개와 같은 형국으로 술악(戌岳) 이라고 한다.
특히 조천읍에 민오름을 독악(禿岳)이라고 하며, 제주시에 위치한 민오름을
소독악(小禿岳)이라고 한다. 독악(禿岳)이란 민둥산을 의미하며
모양이 '미끈하다, 밋밋하다'는 것이다. 이 오름 남쪽으로 드러난 초지대는 대머리 형태이다.
이 오름은 제주 방언으로 '민짝하다,문짝하다'에서 유래된 오름이라고 할 수 있다.
신제주 로타리에서 정실마을에 이르는 도로변에서 동쪽으로 100m에 위치한다.
신제주 로타리에서 남동쪽으로 1km정도에 위치하며 남조순 오름과 마주보고 있다.
이 오름은 행정구역상 오라동에 속하고, 표고는 252m, 비고는 110m로
원추형을 형성하고 있으나 북서쪽으로 길고 완만하게 말굽형 굼부리가 개석되어 있다.
북쪽 사면은 감귤과수원, 예덕나무, 보리수나무,소나무,삼나무 등 잡목 숲을 이룬다.
오름 중턱에는 완만한 사면에 체육공원이 조성되어 신제주 시가지를 한눈에 조망할 수 있다.
오름 서사면 중턱은 붉은 흙이 층층이 연결되어 서북방향으로 패여 있다.
오름 중턱에는 부분적으로 초지가 형성되고, 정상에서 서쪽으로 남조순오름 남서쪽으로 정실마을,거문오름,노리손이.어승생 등이 한 눈에 조망할 수 있다.
민오름의 봉우리는 눈에 띄지는 않지만 소나무 숲속과 초지에 크고 작은 화구구가 연결되어 있다.오름 사면에 초록빛 융단 같은 초지대에는
미나리아제비, 개민들레, 솜방망이, 골무꽃, 술패랭이, 토끼풀 등 초지식물이 분포한다.
말굽형 굼부리는 정상인 서쪽 봉우리와 동쪽 봉우리 사이로 북사면으로 패어 내려
북동향으로 벌어지고, 동쪽으로 사라봉을 조망할 수 있다.
전체사면은 삼나무,소나무 등 상록활엽수림을 형성한다.
'- 산山 오 름' 카테고리의 다른 글
◈ - 어승생 악 (0) | 2008.06.16 |
---|---|
◈ - 민대가리오름 (0) | 2008.06.16 |
♣ - 민오름(제주시) (0) | 2008.06.12 |
◈ - 민오름 (남원 / 제주특별자치도 서귀포시 남원읍 수망리 158 번지 (0) | 2008.06.12 |
◈ - 민오름 / 제주특별자치도 제주시 조천읍 선흘리 산 141 번지 (0) | 2008.06.1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