민오름(남원읍 수망리)
민악(敏岳,民岳)
위치 - 제주특별자치도 서귀포시 남원읍 수망리 158 번지
표고 : 446.8m 비고 : 97m 둘레 : 2,632m 면적 : 371,170㎡ 저경 : 757m 형태 : 말굽형(동쪽)
가는 길 => 남조로(1118)와 서성로(1119)가 만나는 수망교차로에서
5.16도로(1131)쪽 1.1km 지점(남수교 옆)의 오른쪽 한라산 길을 따라
2.4km를 가면오름 기슭에 도착한다
오름 정상 까지는 20여분 정도 소요 된다
민오름은 나무가 없는 민밋한 초지대를 형성 되었다는 데서 유래된 오름이다.
敏은 털이 빠져 살이 드러나는 것을 의미한다.
민오름은 어느쪽으로 보든지 나무가 없는 초지를 형성해야하나 삼나무,소나무 등 잡목이 우거져있다.
한자명은 민악(敏岳,民岳)으로 표기한다.
마을사람들은 오름 정상에 나무가 없이 초지대로 '민밋하다'하여 민오름이라 부른다고 한다.
민오름(남원읍) 입구
민오름(남원읍) 입구
오름은 수망리 북서쪽으로 4km, 남원읍 충혼묘지 서쪽 직선거리로 1.5km이다.
수망리 근처에 물영아리를 지나 1.5km 서쪽에 완만한 동산 형태를 형성한다.
이 오름은 수망리 중잣성을 지나 민오름 곁에 거린오름이 위치한다.
5.16도로(제1횡단도로)와 남조로 사이에 산재한 중산간 오름들중에 남조로에 가까운 오름이다.
이 오름의 등성이는 남동쪽에서 북서쪽으로 완만한 사면을 이루고 남동쪽으로 개석된 말굽형의 굼부리를 형성한다.
이 오름은 행정구역상 수망리에 속하고, 서사면은 상록수가 울창한 계곡을 형성한다.
북사면은 완만한 능선으로 이어지며, 소나무,삼나무 등 잡목 숲을 형성한다.
오름 북쪽사면에는 중잣성이라 낮은 돌담 자취가 남아 있어서 주변 계곡으로 이어져 있다.
'잣성'이란 옛날 목마장구역을 구분하는 경계표시인 돌담으로 방목하는 말들이
함부로 이웃목장이나 험한 산간 숲지대와 경작지로 넘어 가지 못하도록 만든 경계구역인 돌담을 말한다.
민오름 정상에서 - 오른쪽 멀리 여문영아리 오름이 보인다 - 우측능선은 물영아리오름
민오름 정상에서 바라 본 큰거린악 작은 거린악
민오름에서 본 물영아리오름(앞) 과 여문영아리오름(뒷쪽멀리 보이는)
'- 산山 오 름' 카테고리의 다른 글
◈ - 민오름(제주시) (0) | 2008.06.12 |
---|---|
♣ - 민오름(제주시) (0) | 2008.06.12 |
◈ - 민오름 / 제주특별자치도 제주시 조천읍 선흘리 산 141 번지 (0) | 2008.06.12 |
♣ - 민오름(구좌읍) (0) | 2008.06.12 |
◈ - 당오름 / 제주특별자치도 제주시 한경면 용수리 4,705 번지 (0) | 2008.06.1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