폭낭오름
개오름에서 본 폭낭오름 팽목악(彭木岳), 평악(坪岳)
위치 : 제주특별자치도 제주시 애월읍 봉성리 산 43 번지
표고:645.5m 비고:76m 둘레:2,888m 면적:583,171㎡ 저경:997m 형태:복합형
평화로와와 산록도로가 만나는 어음1리 교차로까지는 여러 갈래의 길이 나 있다.
여기서 서귀포시 쪽 2.5㎞ 지점 삼리공동목장 입구에서
목장을 가로 질러 30분 정도 가면 도착하고, 정상까지는 약 20분 정도 걸린다.
동쪽과 북동쪽 일대에는 2005년에 조성된 골프장이 있다
예로부터 폭낭오름(퐁낭)이라 불렀으며 한자 차용 표기에 따라 팽목악(彭木岳)으로 표기하였다.
폭낭은 팽나무의 제주어로,
유난히 눈에 띄는 폭낭이 있는 오름이라는 데서 붙인 것인데,
현재 그 폭낭이 어느 것인지는 확실하지 않다.
동북쪽에는 레오름이, 남서쪽에는 왕이메가 있다.
동남쪽에는 솔도(솔또)라는 봉성리 화전동이 있다.
전 사면은 비교적 완만한 등성이를 이루고 있으며,
식생으로는 주로 산뽕나무·자귀나무·보리수나무·꽝꽝나무 등이 자라고 있다.
폭낭오름은 괴오름 남쪽에 있는 계곡하나를 건너서 1km 사이에 완만한 사면으로 이어지는 오름이다.
행정구역상 봉성리에 속하고 말굽형 굼부리가 북쪽에 괴오름에서 서사면으로 길게 능선이 이어져 있다.
폭낭오름은 남동 사면에는 대부분 감자를 재배하는 밭과 목초지로 마을공동 목장지대이다.
전체적으로 산뽕나무. 단풍나무. 자귀나무,팽나무, 보리수나무,꽝꽝나무 등 낙엽활엽수림이 분포한다.
폭낭오름 북동쪽에 위치한 빈네오름은 '송이'를 대규모를 채취되어 온통 붉은 살을 드러내고 있다.
폭낭오름의 북동쪽에 위치한 둥근 다래오름과 괴오름이 동서로 마주보고 있다.
이 오름은 괴오름. 빈데오름. 다래오름 등과 약 1km 정도 거리를 두고 직사각형을 이룬다.
이 오름 주변 마을 공동목장인 초지대는 괭이밥, 꿀풀,엉겅퀴,억새군락 등 초지식물이 분포한다
'- 산山 오 름' 카테고리의 다른 글
◈ - 논고악 / 제주특별자치도 서귀포시 남원읍 신례리 산 2-1번지 (0) | 2008.06.16 |
---|---|
◈ - 천아오름 / 제주특별자치도 제주시 애월읍 광령리 산 182 번지 (0) | 2008.06.16 |
◈ - 정물오름 (0) | 2008.06.16 |
◈ - 어승생 악 (0) | 2008.06.16 |
◈ - 민대가리오름 (0) | 2008.06.1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