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 디카 공부

◈ - 엔디(ND)필터, 시피엘(CPL)

by 준원 김재훈 2013. 3. 15.







엔디(ND) 필터

중성 농도 필터(neutral density filter)의 약자



 

 

 

광량을 감소시켜 적정 노출이 되도록 고안한 필터.

 이 필터는 입사 광량을 균등하게 감소시키기 위해 쓰인다.


피사체가 너무 밝아 조리개만으로는 조정이 불가능한 경우

또는 조리개를 조이면 피사계 심도가 깊게 되므로 심도를 변화시키지 않고 촬영하고 싶을 때 사용한다.

그 외에도 피사체를 강조하기 위해 배경을 뭉그러뜨릴 경우(피사계 심도를 얕게 할 경우)

 조리개를 개방하고 ND 필터를 이용할 때도 있다.



ND필터의 종류와 스톱 & 셔속관계


ND없음

ND 2

ND 4

ND 8

ND 16

ND 32

ND 64

ND100

ND200

ND400

ND500

ND1000

ND2000

ND100000

스톱수

없음

1스톱

2스톱

3스톱

4스톱

5스톱

6스톱

6.7스톱

7.7스톱

8.7스톱

9스톱

10스톱

11스톱

16스톱

셔속예

1/250초

1/125초

1/60초

1/30초

1/15초

1/8초

1/4초

1/2.5초

1/1.3초

1.6초

2초

4초

8초





한 스톱이란


f 2.8     f 4     f 5.6     f 8     f 11     f 16     f 22


각 한단계가 한 스톱이다




셔속의 한 스톱


1/8000초      1/4000초      1/2000초      1/1000초      1/500초      1/250초      1/125초      1/60

 

1/30초     1/15초     1/8초     1/4초     1/2초      1초      2초     4초     8초      15초      30초




장노출  찍을때 쓰는  것입니다

파도나 계곡물 또는 운해를 찍으면 묘한 분위기를 냅니다


1)  ND 2


2) ND 4


3) ND 8  -  이끼계곡


4) ND 400 - 대낮에 주로 사용


5) ND 500


6) ND 1000


일반적으로 ND 8 ND 400을 주로씁니다 


 



ND 필터의 용도

먼저 ND 필터의 역할에 대해서 말씀드리겠습니다.
ND필터는 빛의 양(광량)을 조절해주는 즉 낮춰주는 역할을 한다고 보시면됩니다.
한여름 눈이 부실 때 선글라스 및 색상있는 자동차의 유리를 생각하시면 될듯합니다.


그러면 어떨 때 ND필터를 쓰는가..하는 것은 어느정도 짐작이 되시리라 믿습니다.
광량이 세고 햇빛 쨍쨍한 오후 계곡의 폭포수를 부드럽게 표현을 한다고 생각해 보세요

그럼 자연스레 셔터스피드를 느리게 해줘야 할 것입니다.

1/2 로 줄여보고 찍어봅시다.

 

아마도 사진이 허옇게 나올거라 예상되는군요

이럴 때 광량을 줄여주는역할을 하는 ND필터를 사용합니다.


밑에는 샘플사진입니다 맑은날에 셔터스피드가 1/2인데도 색감이 진하게 나온걸 볼수있네요
만일 ND필터를 쓰지 않았다면 긴 셔터스피드로 인해 허옇게 나왔을 듯 싶네요..

 

 

 

ND 필터의 종류

ND필터를 구입하실 때 보면 뒤에 수치가 붙습니다..

처음 구입하실 때 당황하게 되죠 한예로 크로스 필터는 4,6,8 등의 수치가 붙습니다.

그 수치는 빛을 갈라주는 숫자로 보시면되구요

ND필터의 경우는 2, 4, 8 ,16, 400 등의 수치가 붙습니다.(ND2,ND4,ND8,ND16..)

수치가 말해주는 것은 간단히 말해서 빛의 양을 1/2,1/4,1/8 ....로 줄여준다는 뜻으로 보시면됩니다.


수치 계산법

그럼 ND필터의 뒤에 붇는 수치를보고 어떤걸 선택해야하나...

ND4,또는 ND8이 많이 쓰인다더군요..

조리개와 셔터드피드는 광량에 밀접한 관계를 가지고 있습니다..

조리개를 1단 더 열어주고 셔터속도도 1단 더 느리게 하면 광량은 몇 배 늘어날까요?

조리개로 2배, 셔터로 2배... 곱하면 4배....가 되는 것이죠



예를 들어보겠습니다..

조리개 우선 모드로 f5.6에 맞춘 뒤  셔터가1/60초 나왔습니다..

여기에 ND2 필터를 끼워보면 어떻게 되나

ND2를 끼웠을 때 같은 광량하에 1/30초로 조정이 가능하다고 보시면됩니다..

그럼 ND8을 끼워봐서 계산해보죠

같은 광량하세 셔터 스피드는 1/7.5로  촬영이 가능하게 된다는 것을 알 수 있습니다..

만일 여기서 조리개를 더 조이면 셔터스피드를 더 늘려도 될것입니다.

그러면 ND4에 ND8을 끼운다고 가정하면(물론드물지만) 셔터는 약 1/2초까지 가능할겁니다..

어느정도 감이 오시나요





구공이 같은 경우 셔터는

16 초까지 가능하므로 장시간 노출에 의한 사진 촬영이 가능합니다..

대낮에 물의 궤적같은걸 찍으실 때 또는 자동으로 설정되는 셔터스피드를 늘려주면서 그것에 대비한 광량을 줄여줄 경우
ND 필터를 사용하시면 좋을거 같습니다..

저같은 경우 패닝샷을 찍을 때도 필요할거 같더군요...

밝은 대낮에 구공이로 패닝을 찍기위해 임의로 셔터 스피드는 1/60~1/30 정도로 해주어야 합니다..

이때 전 노출값을 조정할 수 없는  매뉴얼 모드로 사용할 때가 많죠

그러나 저렇게 하면 허옇게 나올 때가 많죠

이때 ND 필터로 광량을 조금 줄여줄 수 있으면 ..하는 생각도 들더군요...






시피엘(CPL) 



'- 디카 공부' 카테고리의 다른 글

◈ - Exif 정보  (0) 2013.05.01
◈ - 불꽃 / ISO 조리개  (0) 2013.04.11
◈ - 조리개 ( AV기능 )  (0) 2013.03.01
◈ - 미러리스  (0) 2013.02.05
◈ - Hello DSLR / 11회 ~ 16회  (0) 2012.11.1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