불꽃 촬영
이글은 DSLR CLUB 게시글에서 발췌하였으며,
■ 촬영하기전 촬영 장소를 선택하자.
어떤 촬영을 가더라도 출사 장소를 선택하는것 만큼 중요한것은 없습니다
이 불꽃 촬영 또한 마찬가지 입니다
촬영 장소의 선택에 따라서 촬영 장비 자체가 바뀌게 되기 때문입니다
바로 코앞에서 촬영하는데 표준 줌랜즈로 촬영하면 불꽃이 프레임에 다 들어오지 않으며
멀리서 촬영하는데 초광각 랜즈로 촬영하게 된다면 무척이나 이쁘지 않은 작품이 되겠죠.
본격적인 불꽃촬영하기에 앞서 주간(밝은상황)에 불꽃을 예상하고 구도를 맞춰보시기 바랍니다
■ 촬영 준비물
카메라
삼각대 - 불꽃 촬영도 야경 촬영이므로 삼각대는 반드시 있어야 하는 필수 준비물
릴리즈 - 다른 야경 촬영에서는 없어도 촬영이 가능하지만 불꽃 촬영에서는 꼭 준비하도록 합니다
랜즈 - 랜즈의 선택은 촬영 장소를 어디로 선택하느냐에 따라서 달라지게 됩니다.
( 크롭바디의 경우 12-24 / 1대1의 경우 17-35 정도)
표준 광각을 준비하게 된다면
매우 높이 올라가는 불꽃의 경우에는 프레임에서 잘릴수 있다는걸 명심하도록 합니다.
멀리서 도심 풍광과 함께 촬영하게 되는 경우에는 표준 줌 24-70 계열을 준비하는것이 좋습니다.
검은 천이나 검은종이....나중에 따로 설명
여분의 메모리 및 베터리 - 보통 한시간 가량 불꽃 촬영을 하게 되면 200-300컷 가량 촬영을 하게 됩니다.
그에 맞게끔 메모리를 여유있게 준비 하도록 합니다.
그리고 주간 촬영의 경우에는 저 정도 컷수가 크게 문제가 되지 않지만 장노출을 하는 만큼 베터리를 항상 여유있게 준비 하도록 합니다.
생각보다 베터리 소모가 큽니다.
방한용 의류...불꽃 촬영을 하기 위해서 대기하는 곳은 바닷가, 강가, 야산등지 입니다.
저녁이 되면 매우 빠르게 기온이 하강할수 있으므로 겨울용 옷을 미리 준비 하는것이 좋습니다.
■ 카메라 세팅하기
불꽃 촬영의 경우 다른 촬영보다 카메라 세팅이 중요한 편입니다.
사실 카메라 세팅이 촬영의 처음과 끝이라고 해도 과언이 아닙니다.
○ 조리개 수치
f 5.--f11 정도로 세팅 하도록 합니다
조리개 수치가 너무 낮게 되면 불꽃이 너무 굵게 나타나게 되며 너무 높게 되면 얇게 나오게 됩니다
개인적으로는 5.- 6 - 8 정도 추천합니다.
○ bulb 모드
다른 야경 촬영의 경우에는 아주 긴 장노출이 아니고서는 도심 촬영은 대부분 A모드(조리개우선모드)로 촬영하는 경우가 많습니다.
하지만 불꽃 촬영의 경우에는 수치가 따로 정해져 있지 않고 그때 그때의 상황에 따라 수치가 변하게 됩니다.
가령 짧게는 2 - 3초에서 여러가지의 불꽃을 한 프레임에 넣을때에는 30초 가량 노출을 줄때도 있습니다.
따라서 어떤 상황이 발생할지 모르기 때문에 bulb모드로 촬영하는것이 좋다
이때에는 반드시 릴리즈를 사용하여 촬영하도록 합니다
(벌브모드로 촬영한다는 것은 촬영자의 경험이 가장 중요하며
노출과 셔터속도를 감안하여 적정노출을 임의로 결정해야하며 촬영된 불꽃형태를 머릿속에 그리고 있어야 합니다).
○ 노이즈 리덕션을 off
최근의 기종들은 어지간해서는 노이즈가 나타나지 않으며
오래된 기종이라고 하더라도 짧게 끊어주는 노출에서는 노이즈가 나타나지 않습니다.
그리고 노이즈 리덕션을 on 시켜두면 그 노출 시간만큼 촬영을 할수 없게 됩니다.
○ 미러업 off
필름카메라사용시는 묻지마 미러업을 사용했습니다 만,
디카에서는 거의 신경안쓰는듯 하더군요 : 필자는 불꽃 촬영을 할때에는 미러업을 사용하지 않습니다.
○ 촛점을 맞춘후 수동 초점으로 전환
불꽃 촬영의 경우 AF 로 촬영하려고 한다면 카메라가 어두운 배경에서 초점을 잡지 못할 경우가 발생할수 있습니다.
이런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처음 초점을 잡은후 수동 모드로 전환 하여AF 포커싱이 변하지 않도록 한다.
이것은 랜즈에서 수동 전환할수도 있으며 바디에서도 가능합니다.
○ 프레임을 설정할때에는 주된 배경을 좋은 위치에 넣는것이 가장 중요합니다.
물론 불꽃 촬영 자체가 중요하지만 주변 배경과 어울어지는 장면을 촬영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불꽃만 덜렁 넣어서 촬영해버리면 나중에 사진을 보게 된다면 촬영가 본인이야 '나 이거 어디서 찍었어' 하겠지만
사진을 감상하는 사람은 어디서 찍었는지 알수 없겠죠?
(아마추어작가와 프로작가의 차이점입니다 / 불꽃촬영한다고 불꽃만 무쟈게 찍으시는 분들이 있습니다
이런분들에게 새별오름 들불축제 불꽃놀이가 의미가 없습니다/ 불꽃과 오름의 이미지를 함께 넣기위한 고민을 많이 하셔야 합니다)
■ 실전 촬영 테크닉 익히기
보통 다른 야경 촬영의 경우에는 오늘 이쁘게 안나왔으면 내일 다시 찍으면 되지 하는 심정으로 찍을수 있습니다.
하지만 대형 불꽃 촬영의 경우에는 일년중 딱 한번 열리게 되어서
불꽃쇼가 벌어지는 몇분동안 촬영에 적응하고 이쁜 작품을 최소한 한두개쯤은 만들어야 합니다.
그래야 그렇게 오랜 시간동안 고생한 보람이 있겠죠
불꽃쇼가 시작되면 모든 불꽃을 다 작품으로 남길려고 할 필요는 없습니다.
보통 작품으로 남길수 있는 부분은 중간의 연출이 이쁘게 나오는 부분과, 다른 쇼와 마찬가지로
불꽃쇼에서도 하이라이트는 마지막 부분에 거의 모여 있다고 보시면 됩니다.
이러한 장면만 촬영을 잘하셔도 그날의 촬영은 성공적이라고 봐도 좋습니다.
○ LCD로 확인하기
사실 예전 구 기종은 LCD 확인이 너무 느려서 시간을 많이 지체 했지만 불꽃 촬영중에 LCD를 잠깐 잠깐씩 확인해야 할때가 있습니다.
처음에 쇼가 시작되면 한 두 컷을 촬영한다음 LCD를 통하여 어느정도까기 프레임을 차지 하는지 확인하도록 합니다.
처음에는 그리 높게 올라가지 않으니 줌랜즈를 이용하여 화각을 약간 조절하는것도 괜찬습니다.
이때 절대 카메라의 전체 구도가 흐뜨러지지 않도록 줌링만 살짝 만지도록 합니다.
자칫 카메라가 잘못 움직이게 된다면 전체적은 벨런스가 무너질수도 있습니다.
○ 주의사항
너무 많은 불꽃을 한 프레임에 넣으려고 하지 마세요.
이럴경우 하이라이트(화이트홀) 발생도 높을뿐더러 좋은 작품을 건지기 어렵습니다.
너무 많은 불꽃이 한꺼번에 터질 경우에는 계속적으로 끊어서 촬영하는 것이 좋습니다.
꼭 몇개의 불꽃을 한 프레임에 넣고 싶다 하시는 분들은 준비한 검은 천을 이용하여
너무 밝은 시간대에 랜즈 앞을 가려주면서 촬영하도록 합니다.
이럴경우 하이라이트 발생률을 최소한으로 줄일수 있으며 만족할 만한 작품을 만드실수 있습니다.
연출 불꽃의 경우 여러가지 형상이 한꺼번에 형성되는 경우가 있습니다.
이때 같은 프레임에 넣고 싶다면 검은 천을 이용하여 랜즈 앞을 가리면서 촬영하도록 합니다.
대부분의 불꽃쇼의 대미는 마지막 부분에 집중되어 있습니다.
이때에는 높이도 높을뿐더러 아주 많은 불꽃이 한꺼번에 터지기 때문에 짧게 끊어서 촬영하도록 합니다.
오름에 불태우기가 시작되어 전체적으로 밝은 노출이 나오게 된 상황에서 F값을 적게 F5.6 하여 노출시간을 짧게 하였으며
촛불이미지 불꽃이 올라가는 순간 더이상 불꽃이 터지기 전에 바로 끊어 줬습니다
(불꽃촬영할때 촬영될 이미지를 생각하면서 셔터와 노출(F값과 노출시간)을 잡아주는데 촬영경험이 매우 중요합니다)
[예)사진]..장택호 作 "2008벛꽃축제중에서"
벛꽃이 주제이므로 불꽃보다 벛꽃이 전체적으로 많은 구도를 차지하게 하였고
불꽃 발화지점이 먼거리이고 초광각렌즈여서 불꽃을 부각시키기가 어려워서
F22로 조이고 장노출로 불꽃개체수가 많이 촬영되게 하였습니다
'- 디카 공부' 카테고리의 다른 글
◈ - 송보의 사진강좌 (0) | 2015.12.10 |
---|---|
◈ - 흔히 나타나는 실수 10가지 (0) | 2015.11.11 |
◈ - 캐논 렌즈 시리얼로 생산 년도 확인 (0) | 2015.07.08 |
◈ - 사진 액자 사이트 (0) | 2015.03.02 |
◈ - 필터의 종류 (0) | 2015.02.1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