어후오름
어후름, 어후악(御後岳)
위치 - 제주특별자치도 제주시 조천읍 교래리 산 137-2번지
표고:1,016.9m 비고:116m 둘레:1,956m 면적:229,772㎡ 저경:662m 형태:말굽형(북동쪽)
한라산 동사면의 성널오름의 북쪽으로 물장오리 사이의 깊은 계곡을 끼고 있는 오름이다.
꾀 높고 가파르며, 북서사면의 계곡은 급경사를 이루고 있다.
성널 오름과 불칸디오름과는 남과 북으로, 사라오름과 물장오리오름과는
동과 서로 같은 선상에 자리하고 있으며
어후오름 북쪽에는 불칸디오름이 있고,
북동쪽에는 쌀손장오리오름과 물장오리오름이 있다.
서남쪽에는 돌오름과 흑붉은오름이 있다.
주위에는 삼나무와 소나무 숲으로 되어 있다.
어후오름 서녘 자락에서 부터
성널오름, 사라오름, 흙붉은오름, 일대를 속밭이라 부르기도 한다
어후오름의 주봉 서남쪽에서 동북쪽으로 경계가 지나는데,
한라산국립공원 내에 등산이 금지되어 있어 들어가기가 어렵다.
어후라는 어원은 미상이나 두 봉우리가 어우려져 있어서 어후오름이라고 한다.
이 오름의 두 개의 봉우리가 어우러 있는 것은 사실이다.
'어우르다'는 봉우리 두 개가 서로 어우려져 있다는데서 유래된다.
이 오름은 어후름이라고 한다. 한자명은 어후악(御後岳)으로 표기한다.
어후오름은 한라산국립 공원지역으로 물장오리와 성널오름 중간에 위치한다.
오름은 5.16 도로에서 물장오리 입구에서 서남쪽으로 약 2㎞ 정도에 위치한다.
이 오름은 행정구역상 조천읍 교래리에 속하고, 북서쪽은 급경사를 형성하고,
남서쪽은 비교적 경사가 완만하다.
어후오름은 한라산 동부지역의 장축방향으로 주축을 형성하는 오름이다.
어후오름의 남쪽은 성널오름,사라오름,흙붉은오름 등에 펼쳐진다.
꽝꽝나무,진달래,서나무 푸서리나무 등 자연림을 형성한다.
어후오름 남북으로 두 봉우리로 형성되어 있으며, 북봉은 정상이고, 남서로 완만하게 이어지고,
남봉은 북서로 평평하게 이어져 타원형을 형성한다.
북쪽은 급경사면을 이루며,
제주시 아라동과 조천읍 경계로 흙붉은오름에서 발원하는 천미천이 있다.
천미천이 흐르는 계곡에서 북쪽에 불칸디오름이 위치한다
'- 산山 오 름' 카테고리의 다른 글
◈ - 불칸디 오름 / 제주특별자치도 제주시 월평동 산 6번지, 봉개동 산 78 - 2 번지 (0) | 2008.06.16 |
---|---|
◈ - 물장오리 오름 / 제주특별자치도 제주시 봉개동 산78 - 2 번지 (0) | 2008.06.16 |
◈ - 성널(성판악)오름 / 제주특별자치도 서귀포시 남원읍 신례리 산 2-1번지 (0) | 2008.06.16 |
◈ - 논고악 / 제주특별자치도 서귀포시 남원읍 신례리 산 2-1번지 (0) | 2008.06.16 |
◈ - 천아오름 / 제주특별자치도 제주시 애월읍 광령리 산 182 번지 (0) | 2008.06.1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