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 비네팅(Vinetting)으로 집중감을 만들기
예전에 렌즈 가공 기술이 좋지 않았을 때,
비네팅이란 것이 있었다.
비네팅이란 것은 빛이 상대적으로 유리층이 두꺼운 렌즈의 주변부를 통과하면서
광량이 줄어 주변부가 어두워지는 경우를 말한다.
원래는 좋지 않은 결점인 것인데,
묘하게도 가운데에 있는 주제에 집중하게 하는 효과가 있어 잘만 이용하면 주제를 강조하는 분위기를 만들어낼 수 있었다.
이런 효과(?)는 과거 '로모'라는 러시아산 토이 카메라에서 강하게 나타나서 인기를 끈 적도 있었다.
요즘 렌즈는 대부분 비네팅이 눈에 띄게 생기지 않는다.
하지만, 당연히 포토삽에서는 비네팅 효과를 인위적으로 만들어낼 수가 있다. 원한다면 말이다.
a. 원본 파일을 불러온다.
![1.jpg](http://www.indica.or.kr/xe/files/attach/images/2662689/178/308/005/e52e893c2433b842a2189648c434a15f.jpg)
b. Curvers 기능을 이용하여 사진의 전체 톤을 매우 어둡게 만든다.
![2.jpg](http://www.indica.or.kr/xe/files/attach/images/2662689/178/308/005/2171804fbad2547990db7b725ff1c094.jpg)
c. Curves 레이어의 마스크 영역을 선택하고 브러시를 키운다.
마스크 영역을 검은색으로 칠하면 그 부분의 해당 레이어의 효과가 적용되지 않는 기능을 이용하기 위해서이다.
![3.jpg](http://www.indica.or.kr/xe/files/attach/images/2662689/178/308/005/2171804fbad2547990db7b725ff1c094_1.jpg)
d. 크게 키운 브러시로 밝게(원래대로) 만들로 싶은 부분을 클릭하여 주제 부분을 원래 상태로 원복한다.
![4.jpg](http://www.indica.or.kr/xe/files/attach/images/2662689/178/308/005/8fb6ca65000d83d5bf298a08dd32a600.jpg)
e. 주제 부분을 중심으로 비네팅이 만들어져 어수선한 주변을 정리하고 주제에 집중할 수 있게 되었다.
이 기능을 복잡한 주변을 정리하는데 이용할 수도 있다.
![5.jpg](http://www.indica.or.kr/xe/files/attach/images/2662689/178/308/005/55fe9a05f832ea1ecb49291d5d80573c.jpg)
before
![b2.jpg](http://www.indica.or.kr/xe/files/attach/images/2662689/178/308/005/2d5ce876f7dd8fffa08e17b918cda5b1.jpg)
after
![a2.jpg](http://www.indica.or.kr/xe/files/attach/images/2662689/178/308/005/4968f395b8272e2b1a4cc63ba5823009.jpg)
'- 디카 공부' 카테고리의 다른 글
◈ - (1) 크롭 (Crop) / 야생화 사진 리터칭 (0) | 2016.02.03 |
---|---|
◈ - (2) 채도 (Saturation) 보다 생동감 (Vibrance) / 야생화 사진 리터칭 기술 (0) | 2016.02.03 |
◈ - 4. 어도비로 부터 온 샤픈에 대한 제언 / 야생화 사진 리터칭 기술 (0) | 2016.02.03 |
◈ - 5. Smart Sharpen의 용법 / 야생화 사진 리터칭 기술 (0) | 2016.02.03 |
◈ - 6. Curves를 이용한 컨트라스트 증가 / 야생화 사진 리터칭 기술 (0) | 2016.02.0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