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 시詩 와 문학文學

◈ - 서정주 (徐廷柱) / 국화 옆에서 외 12 편

by 준원 김재훈 2009. 2. 25.

 

 





 

 

서정주(徐廷柱) 


미당(未堂) 서정주(徐廷柱, 1915-2000)


 1915년 전북 고창에서 출생, 중앙고보와 중앙불교학원에서 수학.


1936년 동아일보 신춘문예 '벽' 당선, 조선청년문학가협회, 한국문학가협회 시분과위원장,

동국대 교수 역임.

시집으로는 《귀촉도》, 《서정주 시선》,《신라초》(1961), 《동천》(1969), 《질마재 신화》(1975), 《떠돌이의 시》(1976),

《노래》(1984), 《팔할이 바람》(1988), 《산시(山詩)》(1991), 《늙은 떠돌이의 시》(1993), 《흑산호》(1953),

《국화 옆에서》(1975), 《미당 서정주 시전집》(1991) 등이 있다.






국화 옆에서




한 송이의 국화꽃을 피우기 위해

 

봄부터 소쩍새는

 

그렇게 울었나 보다.

 

                    

 

한 송이의 국화꽃을 피우기 위해

 

천둥은 먹구름 속에서

 

또 그렇게 울었나 보다.

 

 

 

그립고 아쉬움에 가슴 조이던

 

머언 먼 젊음의 뒤안길에서

 

  인제는 돌아와 거울 앞에 선

 

내 누님같이 생긴 꽃이여.

 

 

 

노오란 내 꽃잎이 피려고

 

간밤엔 무서리가 저리 내리고

 

내게는 잠도 오지 않았나 보다

 

 이 시는 국화 한 송이를 통해서 느끼는 생명의 신비와 그것이 완성되어 꽃으로 피어나는 데 기여한

우주 삼라 만상의 협동 과정을 불교적 인연설(因緣說)에 기초하여 형상화한 작품이다.

 

 '소쩍새의 울음'(봄)과 '천둥 소리'(여름), '무서리'(늦가을) 등은

모두 국화의 개화에 참여하는 전 우주의 협동 과정을 상징한다.

이러한 우주적 협동 과정을 통해 태어난 국화는 '내 누님같이 생긴 꽃'이다.

 

그 꽃의 모습은 '머언 먼 젊음의 뒤안길', 곧 소쩍새가 울고 천둥이 치는 과거의 시간으로부터 돌아와 지난날을

자성(自省)해 보는 누님 같은 성숙한 아름다움을 지닌 꽃이다.

 

자아 성찰과 자기 확인을 상징하는 '거울 앞에 선 누님'의 이미지가 그러한 아름다움을 생생하게 전해 준다.

이처럼 국화는 오랜 인고(忍苦)와 방황의 젊은날을 거치고 난 후의 성숙한 중년 여성의 이미지와

 결합하면서 성숙한 자기 인식과 아름다움을 표상하는 시적 상관물로 자리잡게 되는 것이다.

 

귀촉도(歸蜀途)


눈물 아롱아롱
피리 불고 가신 님의 밟으신 길은
진달래 꽃비 오는 西域(서역) 三萬里(삼만리).
흰 옷깃 여며 여며 가옵신 님의
다시 오진 못하는 巴蜀(파촉) 三萬里(삼만리).

신이나 삼아줄 걸 슬픈 사연의
올올이 아로새긴 육날미투리.
은장도 푸른 날로 이냥 베어서
부질없은 이 머리털 엮어드릴걸.

초롱에 불빛, 지친 밤 하늘
굽이굽이 은하물 목이 젖은 새,
차마 아니 솟는 가락 눈이 감겨서
제 피에 취한 새가 귀촉도 운다.
그대 하늘 끝 호올로 가신 님아.

 

 

오장(伍長) 마쓰이 송가(頌歌)
아아 레이테만은 어데련가
언덕도
산도
뵈이지 않는
구름만이 둥둥등 떠서 다니는
몇천길의 바다런가

아아 레이테만은
여기서 몇만리련가 ……

귀 기을이면 들려오는
아득한 파도소리 ……
우리의 젊은 아우와 아들들이
그 속에서 잠자는 아득한 파도소리 ……

얼굴에 붉은 홍조를 띠우고
『갔다가 오겠습니다 』
웃으며 가더니
새와 같은 비행기가 날아서 가더니
아우야 너는 다시 돌아오진 않는다

마쓰이 히데오 !
그대는 우리의 오장(伍長) 우리의 자랑.
그대는 조선 경기도 개성사람
인씨(印氏)의 둘째아들 스물한살 먹은 사내

마쓰이 히데오 !
그대는 우리의 가미가제 특별공격대원
귀국대원

귀국대원의 푸른 영혼은
살아서 벌써 우리게로 왔느니
우리 숨쉬는 이 나라의 하늘 위에
조용히 조용히 돌아왔느니

우리의 동포들이 밤과 낮으로
정성껏 만들어 보낸 비행기 한채에
그대, 몸을 실어 날았다간 내리는 곳
소리 있이 벌이는 고흔 꽃처럼
오히려 기쁜 몸짓 하며 내리는 곳
쪼각쪼각 부서지는 산더미 같은 미국군합 !

수백척의 비행기와
대포와 폭발탄과
머릿털이 샛노란 벌레 같은 병정을 싣고
우리의 땅과 목숨을 뺏으러 온
원수 영미의 항공모함을
그대
몽둥이로 내려쳐서 깨었는가 ?
깨뜨리며 깨뜨리며 자네도 깨졌는가 --

장하도다
우리의 육군항공 오장 마쓰이 히데오여
너로 하여 향기로운 삼천리의 산천이여
한결 더 짙푸르른 우리의 하늘이여

아아 레이테만은 어데련가
몇천길의 바다런가

귀 기울이면
여기서도, 역력히 들려오는
아득한 파도소리
레이테만의 파도소리

 

 

 

 

종천순일
그러나 이 무렵의 나를
'친일파'라고 부르는 데에는 이의가 있다.
'친하다'는 것은
사타구니와 사타구니가 서로 친하 듯하는
뭐 그런 것도 있어야만 할 것인데
내게는 그런 것은 전혀 없었으니 말씀이다.
'부일파(附日派)'란 말도 있긴 하지만
거기에도 나는 해당되지 않는 걸로 안다.
일본에 바짝 다붙어 사는 걸로 이익을 노리자면
끈적끈적 잘 다붙는 무얼 가졌어야 했을 것인데
나는 내가 해준 일이 싼 월급을 받은 외에
그런 끈끈한 걸로 다붙어 보려고 한 일은
단 한 번도 없었기 때문이다.
나는 이때 그저 다만,
좀 구식의 표현을 하자면----
'이것은 하늘이 이 겨레에게 주는 팔자다'하는 것을
어떻게 해서라도 익히며 살아가려 했던 것이니
여기 적당한 말이려면
'종천순일파(從天順日派)'같은 것이 괜찮을 듯하다.
이때에 일본식으로 창씨개명까지 하지 않을 수 없었던
우리 다수 동포 속의 또 다수는
아마도 나와 의견이 같으실 듯하다.

 


 

 

처음으로

전두환 대통령 각하 56회 탄신일에 드리는 송시
한강을 넓고 깊고 또 맑게 만드신 이여
이 나라 역사의 흐름도 그렇게만 하신 이여
이 겨레의 영원한 찬양을 두고두고 받으소서.
새맑은 나라의 새로운 햇빛처럼
님은 온갖 불의와 혼란의 어둠을 씻고
참된 자유와 평화의 번영을 마련하셨나니
잘 사는 이 나라를 만들기 위해서는
모든 물가부터 바로 잡으시어
1986년을 흑자원년으로 만드셨나니
안으로는 한결 더 국방을 튼튼히 하시고
밖으로는 외교와 교역의 순치를 온 세계에 넓히어
이 나라의 국위를 모든 나라에 드날리셨나니
이 나라 젊은이들의 체력을 길러서는
86아세안 게임을 열어 일본도 이기게 하고
또 88서울올림픽을 향해 늘 꾸준히 달리게 하시고
우리 좋은 문화능력은 옛것이건 새것이건
이 나라와 세계에 떨치게 하시어
이 겨레와 인류의 박수를 받고 있나니
이렇게 두루두루 나타나는 힘이여
이 힘으로 남북대결에서 우리는 주도권을 가지고
자유 민주 통일의 앞날을 믿게 되었고
1986년 가을 남북을 두루 살리기 위한
평화의 댐 건설을 발의하시어서는
통일을 염원하는 남북 육천만 동포의 지지를 받고 있나니
이 나라가 통일하여 홍기할 발판을 이루시고
쥐임없이 진취하여 세계에 웅비하는
이 민족기상의 모범이 되신 분이여!
이 겨레의 모든 선현들의 찬양과
시간과 공간의 영원한 찬양과
하늘의 찬양이 두루 님께로 오시나이다


 

 

 

 

밀어(密語)



 

순이야. 영이야. 또 돌아간 남아.

굳이 잠긴 잿빛의 문을 열고 나와서

하늘가에 머무른 꽃봉오릴 보아라.

한없는 누에실의 올과 날로 짜 늘인

채일*을 두른 듯, 아늑한 하늘가에

뺨 부비며 열려 있는 꽃봉오릴 보아라.

순이야. 영이야. 또 돌아간 남아.

저,

가슴같이 따뜻한 삼월의 하늘가에

인제 바로 숨쉬는 꽃봉오릴 보아라.

 

 


 

 

무등(無等)을 보며


 

가난이야 한낱 남루(襤褸)*에 지나지 않는다.

저 눈부신 햇빛 속에 갈매빛의 등성이를 드러내고 서 있는

여름 산(山) 같은

우리들의 타고난 살결, 타고난 마음씨까지야 다 가릴 수 있으랴.

청산(靑山)이 그 무릎 아래 지란(芝蘭)*을 기르듯

우리는 우리 새끼들을 기를 수밖에 없다.

목숨이 가다 가다 농울쳐* 휘어드는

오후(午後)의 때가 오거든,

내외(內外)들이여, 그대들도

더러는 앉고

더러는 차라리 그 곁에 누워라.

지어미는 지애비를 물끄러미 우러러보고,

지애비는 지어미의 이마라도 짚어라.

어느 가시덤불 쑥구렁*에 놓일지라도

우리는 늘 옥돌같이 호젓이 묻혔다고 생각할 일이요,

청태(靑苔)라도 자욱이 끼일 일인 것이다.

 

 

 

 

광화문(光化門)

서정주(徐廷柱)

 

 

북악(北岳)과 삼각(三角)이 형과 그 누이처럼 서 있는 것을 보고 가다가

형의 어깨 뒤에 얼굴을 들고 있는 누이처럼 서 있는 것을 보고 가다가

어느새인지 광화문 앞에 다다랐다.

광화문은

차라리 한 채의 소슬한 종교(宗敎).

조선 사람은 흔히 그 머리로부터 왼 몸에 사무쳐 오는 빛을

마침내 버선코에서까지도 떠받들어야 할 마련이지만,

왼 하늘에 넘쳐 흐르는 푸른 광명(光明)을

광화문 ― 저같이 의젓이 그 날갯죽지 위에 싣고 있는 자도 드물다.

상하 양층(上下兩層)의 지붕 위에

그득히 그득히 고이는 하늘.

위층엣 것은 드디어 치일치일 넘쳐라도 흐르지만,

지붕과 지붕 사이에는 신방(新房) 같은 다락이 있어

아랫층엣 것은 그리로 왼통 넘나들 마련이다.

옥(玉)같이 고우신 이

그 다락에 하늘 모아

사시라 함이렷다.

고개 숙여 성(城) 옆을 더듬어 가면

시정(市井)의 노랫소리도 오히려 태고(太古) 같고

문득 치켜든 머리 위에선

낮달도 파르르 떨며 흐른다.

 

 

 

 

추천사(鞦韆詞)


 

 

― 춘향(春香)의 말․1

향단(香丹)아, 그넷줄을 밀어라.

머언 바다로

배를 내어 밀듯이,

향단아.

이 다수굿이 흔들리는 수양버들나무와

벼갯모에 뇌이듯한 풀꽃데미로부터,

자잘한 나비새끼 꾀꼬리들로부터

아주 내어 밀듯이, 향단아.

산호(珊瑚)도 섬도 없는 저 하늘로

나를 밀어 올려 다오.

채색(彩色)한 구름같이 나를 밀어 올려 다오.

이 울렁이는 가슴을 밀어 올려 다오!

서(西)으로 가는 달같이는

나는 아무래도 갈 수가 없다.

바람이 파도를 밀어 올리듯이

그렇게 나를 밀어 올려 다오.

향단아.

 

 

 

 

 

다시 밝은 날에



 

춘향(春香)의 말․2

 

신령님,

처음 내 마음은 수천만 마리

노고지리 우는 날의 아지랭이 같았습니다.

번쩍이는 비늘을 단 고기들이 헤엄치는

초록의 강 물결

어우러져 날으는 아기구름 같았습니다.

신령님,

그러나 그의 모습으로 어느 날 당신이 내게 오셨을 때

나는 미친 회오리바람이 되었습니다.

쏟아져 내리는 벼랑의 폭포,

쏟아져 내리는 소나기비가 되었습니다.

그러나 신령님,

바닷물이 작은 여울을 마시듯

당신이 다시 그를 데려가시고

그 훠 ― 遁한 내 마음에

마지막 타는 저녁 노을을 두셨습니다.

신령님,

그리하여 또 한번 내 위에 밝는 날

이제

산골에 피어나는 도라지꽃 같은

내 마음의 빛깔은 당신의 사랑입니다.

 

 

 

춘향 유문(春香遺文)


 

― 춘향(春香)의 말․3

안녕히 계세요.

도련님.

지난 오월 단옷날, 처음 만나던 날

우리 둘이서 그늘 밑에 서 있던

그 무성하고 푸르던 나무같이

늘 안녕히 안녕히 계세요.

저승이 어딘지는 똑똑히 모르지만,

춘향의 사랑보단 오히려 더 먼

딴 나라는 아마 아닐 것입니다.

천 길 땅 밑을 검은 물로 흐르거나

도솔천(兜率天)의 하늘을 구름으로 날더라도

그건 결국 도련님 곁 아니어요?

더구나 그 구름이 소나기 되어 퍼불 때

춘향은 틀림없이 거기 있을 거여요.

 

 

 

꽃밭의 독백(獨白)


 

― 사소(娑蘇) 단장(斷章)

노래가 낫기는 그 중 나아도

구름까지 갔다간 되돌아오고,

네 발굽을 쳐 달려간 말은

바닷가에 가 멎어 버렸다.

활로 잡은 산돼지, 매[鷹]로 잡은 산새들에도

이제는 벌써 입맛을 잃었다.

꽃아, 아침마다 개벽(開闢)하는 꽃아.

네가 좋기는 제일 좋아도,

물낯 바닥에 얼굴이나 비취는

헤엄도 모르는 아이와 같이

나는 네 닫힌 문에 기대 섰을 뿐이다.

문 열어라 꽃아. 문 열어라 꽃아.

벼락과 해일(海溢)만이 길일지라도

문 열어라 꽃아. 문 열어라 꽃아.

 


 

동천(冬天)


 

내 마음속 우리 님의 고운 눈썹을

즈믄* 밤의 꿈으로 맑게 씻어서

하늘에다 옮기어 심어 놨더니

동지 섣달 날으는 매서운 새가

그걸 알고 시늉하며 비끼어 가네.

 


 

신부(新婦)


 

신부는 초록 저고리 다홍 치마로 겨우 귀밑머리만 풀리운 채 신랑하고 첫날밤을 아직 앉아 있었는데,

신랑이 그만 오줌이 급해져서 냉큼 일어나 달려가는 바람에 옷자락이 문 돌쩌귀에 걸렸습니다.

그것을 신랑은 생각이 또 급해서 제 신부가 음탕해서 그 새를 못 참아서 뒤에서 손으로 잡아당기는 거라고, 그

렇게만 알고 뒤도 안 돌아보고 나가 버렸습니다. 문 돌쩌귀에 걸린 옷자락이 찢어진 채로 오줌 누곤 못 쓰겠다며 달아나 버렸습니다.

그러고 나서 40년인가 50년이 지나간 뒤에 뜻밖에 딴 볼일이 생겨 이 신부네 집 옆을 지나가다가

그래도 잠시 궁금해서 신부방 문을 열고 들여다보니

신부는 귀밑머리만 풀린 첫날밤 모양 그대로 초록 저고리 다홍 치마로 아직도 고스란히 앉아 있었습니다.

안쓰러운 생각이 들어 그 어깨를 가서 어루만지니 그때서야 매운 재가 되어 폭삭 내려앉아 버렸습니다.

초록 재와 다홍 재로 내려앉아 버렸습니다.